본문 바로가기
2008.04.21 02:11

논개

조회 수 8465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논개

임진년 왜란을 일으킨 왜적은 진주성을 여러 번 쳤으나 번번이 뜻을 이루지 못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1593년 진주성을 무너뜨려 사람과 짐승 씨 하나 남기지 말라 명했다. 대군과 맞서 여러 차례 싸움에서 지켜낸 진주성도 기어이 무너지고 말았다. 촉석루에서 축하 잔치를 벌인 왜적들, 돋은 바위 위 한 여인의 아리따움에 홀린 왜장 게야무라. ‘양귀비꽃보다 더 붉은 마음’의 ‘논개’(論介)는 열손 가락지 낀 손을 깍지 껴 그를 안고 ‘강낭콩보다 더 푸른’ 남강으로 뛰어들었다.

논개라는 이름은 남자이름으로도 쓰였는데, 밑말 ‘논’에 ‘개’가 더해진 이름이다. 이름접미사 ‘-개’는 ‘-가’(加), ‘-가이’(加伊)와 뒤섞여 쓰였다. 명가(明加)/명개(明介), 풍가(豊加)/풍개(豊介)/풍가이(豊加伊). 동국신속삼강행실에는 한자로는 是加(시가)·楊加(양가)·億壽(억슈)·仇守(구슈)·梅花(매화)·葵花(규화), 한글로는 낱낱 ‘시개·양개·억슈ㅣ·구슈ㅣ·매홰·규홰’로 적고 있다. 홀소리로 끝나는 말끝에 /ㅣ/가 덧대지는 규칙이 있었던 모양인데, 이름접미사 ‘-가’가 ‘-가이/개’로 바뀌는 것 또한 이런 규칙의 영향인 듯하다.

고온개·난개·노난개·어둔개·언개·이른개·쟈근개 따위의 이름은 ‘고운 게, 난 게, 노는 게, 어둔 게, 언 게, 이른 게, 작은 게’처럼 들린다. ‘-개’가 단순히 이름접미사로 쓰인 이름에 가디개·검쇠개·긋개·귿탕개·기ㅁ.개·논개·눈개·똥개·막개·망죵개·미ㄴ.ㄹ개 ·범개·보롬개·복개·블개·삼개·솝동개·수개·슌개·씨개·어영개·언개·엄개·움개·허롱개가 있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9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4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328
1962 초죽음 바람의종 2010.01.06 10860
1961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515
1960 옷깃을 여미다 바람의종 2010.01.06 12956
1959 덕아웃이 아니고 왜 더그아웃? 바람의종 2010.01.06 9603
1958 메리야스 바람의종 2010.01.06 9071
1957 떠구지 file 바람의종 2010.01.06 9215
1956 보도시 한 절(술) 뜨고 file 바람의종 2010.01.06 5509
1955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405
1954 눈꼬리 바람의종 2009.12.23 13002
1953 총뿌리, 돌뿌리 바람의종 2009.12.23 11339
1952 사람 file 바람의종 2009.12.21 11014
1951 벤치마킹 바람의종 2009.12.21 9593
1950 어딜 갈려고 바람의종 2009.12.18 8088
1949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09.12.18 9590
1948 긴가민가하다 바람의종 2009.12.18 9659
1947 한글로 번역한다? 바람의종 2009.12.18 9730
1946 시남이 댕게라! 바람의종 2009.12.18 7378
1945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724
1944 기린 바람의종 2009.12.18 10184
1943 너나 잘해 바람의종 2009.12.14 9436
1942 한 가닥 하다 바람의종 2009.12.14 10569
1941 어간과 어미 바람의종 2009.12.14 100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