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0 03:38

기윽 디읃 시읏

조회 수 1118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기윽 디읃 시읏

남녘의 현행 한글맞춤법에서 ‘ㄱ·ㄷ·ㅅ’의 이름은 ‘기역·디귿·시옷’이다. 북녘의 조선어철자법에서는 ‘기윽, 디읃, 시읏’이다. 다른 자음의 이름은 모두 같다. 자음 이름에는 규칙이 있다. 자음에 모음 ‘이’를 결합한 첫 음절과, 모음 ‘으’에 해당 자음을 결합한 둘째 음절을 이름으로 한다. ‘치읓·키읔·티읕·피읖·히읗’ 등이 그것이다.

이런 차이는 왜 생겼을까? 한글 자음과 모음의 이름은 최세진이 1527년에 지은 ‘훈몽자회’에서 비롯되었는데, 관습적으로 쓰이는 이름을 인정한 남녘 규범과 통상적인 이름을 규칙에 맞도록 바로잡은 북녘 규범의 차이 때문이다.

훈몽자회는 어린이용 한자 학습서인데 한자 공부를 위해 한글(훈민정음)로 음을 달았다. 이 책에 한글의 쓰임과 음을 익힐 수 있도록 한글 자음과 모음을 한자로 소개했는데, 그것이 한글 자모 이름으로 굳어진 것이다. ‘ㄱ’을 ‘其役’(기역)으로 적어서 ‘기’의 첫소리와 같고, ‘역’의 끝소리와 같다고 설명한 것이다. ‘ㄴ’은 ‘尼隱’(니은)으로 적었다.

‘ㄱ·ㄷ·ㅅ’을 ‘기역·디귿·시옷’으로 적은 이유는? 한자 가운데 ‘윽, 읃, 읏’으로 발음되는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윽’은 발음이 비슷한 ‘역’(役)으로 적고, ‘ㄷ’은 ‘池末’으로, ‘ㅅ’은 ‘時衣’으로 적은 뒤 ‘末, 衣’에는 표시를 해 두었다. 그 표시는 훈독, 곧 한자의 뜻으로 읽으라는 것이다. ‘귿 말’(끝 말)자를 ‘귿’으로 읽고, ‘옷 의’자를 ‘옷’으로 읽으면, ‘디귿, 시옷’이 된다. ‘池’는 16세기에 ‘디’로 발음되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77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4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104
312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723
311 푼수 바람의종 2007.09.10 11795
310 폐하 바람의종 2007.09.09 10224
309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9172
308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10092
307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10045
306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9254
305 파경 바람의종 2007.09.01 11310
304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529
303 아사리판 / 한용운 바람의종 2007.08.31 11544
302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바람의종 2007.08.31 13747
301 배제하다?/최인호 바람의종 2007.08.31 9069
300 퇴짜 바람의종 2007.08.31 10502
299 추파 바람의종 2007.08.31 11367
298 초미 바람의종 2007.08.30 8845
297 청신호 바람의종 2007.08.30 7941
296 청사진 바람의종 2007.08.24 7950
295 청사 바람의종 2007.08.24 6184
294 차례 바람의종 2007.08.23 6808
293 질풍, 강풍, 폭풍, 태풍 바람의종 2007.08.23 8675
292 질곡 바람의종 2007.08.22 8237
291 지향 바람의종 2007.08.22 68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