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0 03:38

기윽 디읃 시읏

조회 수 1101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기윽 디읃 시읏

남녘의 현행 한글맞춤법에서 ‘ㄱ·ㄷ·ㅅ’의 이름은 ‘기역·디귿·시옷’이다. 북녘의 조선어철자법에서는 ‘기윽, 디읃, 시읏’이다. 다른 자음의 이름은 모두 같다. 자음 이름에는 규칙이 있다. 자음에 모음 ‘이’를 결합한 첫 음절과, 모음 ‘으’에 해당 자음을 결합한 둘째 음절을 이름으로 한다. ‘치읓·키읔·티읕·피읖·히읗’ 등이 그것이다.

이런 차이는 왜 생겼을까? 한글 자음과 모음의 이름은 최세진이 1527년에 지은 ‘훈몽자회’에서 비롯되었는데, 관습적으로 쓰이는 이름을 인정한 남녘 규범과 통상적인 이름을 규칙에 맞도록 바로잡은 북녘 규범의 차이 때문이다.

훈몽자회는 어린이용 한자 학습서인데 한자 공부를 위해 한글(훈민정음)로 음을 달았다. 이 책에 한글의 쓰임과 음을 익힐 수 있도록 한글 자음과 모음을 한자로 소개했는데, 그것이 한글 자모 이름으로 굳어진 것이다. ‘ㄱ’을 ‘其役’(기역)으로 적어서 ‘기’의 첫소리와 같고, ‘역’의 끝소리와 같다고 설명한 것이다. ‘ㄴ’은 ‘尼隱’(니은)으로 적었다.

‘ㄱ·ㄷ·ㅅ’을 ‘기역·디귿·시옷’으로 적은 이유는? 한자 가운데 ‘윽, 읃, 읏’으로 발음되는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윽’은 발음이 비슷한 ‘역’(役)으로 적고, ‘ㄷ’은 ‘池末’으로, ‘ㅅ’은 ‘時衣’으로 적은 뒤 ‘末, 衣’에는 표시를 해 두었다. 그 표시는 훈독, 곧 한자의 뜻으로 읽으라는 것이다. ‘귿 말’(끝 말)자를 ‘귿’으로 읽고, ‘옷 의’자를 ‘옷’으로 읽으면, ‘디귿, 시옷’이 된다. ‘池’는 16세기에 ‘디’로 발음되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0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5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562
312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518
311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517
310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517
309 너무 風文 2023.04.24 1516
308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514
307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510
306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509
305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508
304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501
303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499
302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495
301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491
300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490
299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486
298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483
297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481
29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風文 2022.02.01 1474
295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473
294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472
293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472
292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471
291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4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