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9 02:02

쑥부쟁이

조회 수 729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쑥부쟁이
 



 


가을 꽃으로 흔히 ‘국화’를 떠올린다. 하지만 국화과의 꽃은 세계에서 2만종이 넘고, 우리나라 산과 들에도 흔히 들국화라 부르는 구절초·감국·산국·개미취·쑥부쟁이 등 수많은 종의 국화가 있다. 요즘 곳곳의 수목원에서 들국화 잔치를 연다고 한다. ‘쑥부쟁이’는 제주 고장말로도 ‘드릇국화’라고도 하듯이, 가을에 산과 들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연보랏빛 풀꽃이다.

쑥부쟁이는 꽃모습보다 전설이 더 유명하다. 옛날 충청도에 가난한 대장장이 가족이 살았는데, 너무 가난하여 큰딸이 쑥을 캐어 많은 식구들이 먹고 살았다. 쑥부쟁이는 ‘쑥을 캐는 불쟁이의 딸’에서 온 말이라고 한다. 대장장이는 곧 ‘불쟁이’이고, ‘ㄹ’이 탈락하여 ‘부쟁이’가 된다. 그 부쟁이의 딸이 한양에 간 사랑하는 이를 기다리다 숨진 곳에 난 꽃이 쑥부쟁이라고 한다. 유난히 목이 길어 누구를 애타게 기다리는 모습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같은 국화로 이르지만 황실의 화려한 금빛 국화로도, 비바람에 흔들리는 한 송이 작은 들꽃으로도 살 수 있는 것이 세상사라는 것을 쑥부쟁이를 보면서 새삼 느끼게 된다. 꽃의 마음으로는 어떤 삶이 더 좋을까.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0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6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689
2116 쓰겁다 바람의종 2008.02.20 11031
» 쑥부쟁이 바람의종 2008.04.19 7298
2114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24
2113 쑥맥, 쑥, 숙맥 바람의종 2010.07.23 12498
2112 쑥돌·감돌·몽돌 바람의종 2008.05.08 10855
2111 쐐기풀 바람의종 2008.03.24 6477
2110 썰매를 지치다 바람의종 2012.12.05 21545
2109 썰매 바람의종 2010.07.26 8197
2108 썩이다와 썩히다 바람의종 2010.02.25 10107
2107 써라와 쓰라 바람의종 2010.04.02 12486
2106 쌩얼, 민낯, 맨얼굴, 민얼굴 바람의종 2011.12.05 14616
2105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220
2104 쌓인, 싸인 바람의종 2008.12.27 23132
2103 쌍벽 바람의종 2010.08.17 10427
2102 쌍벽 바람의종 2007.07.29 6228
2101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03
2100 쌍거풀, 쌍가풀, 쌍꺼풀, 쌍까풀 바람의종 2012.07.27 13903
2099 쌉싸름하다 바람의종 2009.05.21 11940
2098 쌈마이 바람의종 2009.12.14 9388
2097 쌀뜬물, 쌀뜨물 바람의종 2010.07.21 13663
2096 싹쓸바람 바람의종 2009.03.03 6961
2095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7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