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7 23:55

통장을 부르다

조회 수 11521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통장을 부르다

“마지막 싸움이 될 이번 울돌목해전은 벌써 통장을 부른셈이나 다름없도다.”(김현구·‘리순신 장군’)

‘통장을 부르다’란 ‘누구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성과를 이룩하고 그것을 보란듯이 큰소리로 공포하는 것’이다. 통장을 부르는 것과 그 뜻에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 통장은 ‘외통장군’이다. 장기에서 상대의 궁을 잡겠다고 선포할 때 ‘장군’이라 하고, 장군을 방어한 뒤에는 ‘멍군’이라 한다. 상대의 궁이 방어할 수 없는 수가 ‘외통수’인데, 외통수를 둔 뒤 부르는 장군이 ‘외통장군!’이다. 북녘에서는 외통장군을 ‘통장·통장훈·외통장·외통장훈’이라 한다. 통장을 부른 상황이라면 장기의 외통수만큼이나 확실하고 자랑스러운 상황이리라.

장기에서 ‘외통수’는 공격자의 생각이다. 통장을 불렀지만, ‘멍군’의 묘수가 나오면 ‘외통수’가 아닌 것이다. 또 장기에서는 통장으로 승부가 결정되면 장기를 다시 두면 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상황이 다르다. 승부를 끝내고 다시 시작하는 것이 아니고 연속적인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관계에서의 ‘외통수’는 별로 긍정적이지 않다.

한편, ‘외통수’에 대한 남북 사전의 뜻풀이에 차이가 있다. 북녘 사전에는 번진 뜻으로 ‘외곬으로만 통하는 수나 방법’이란 풀이가 더 있다. 최근 남녘에서 쓰이는 ‘외통수’를 확인해 보면 ‘선택의 여지가 하나밖에 없는 상황’의 뜻으로 쓰고 있어서 쓰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5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03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071
3150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1367
3149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368
3148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369
3147 지슬 風文 2020.04.29 1373
3146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374
3145 지식생산, 동의함 風文 2022.07.10 1374
3144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375
3143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376
3142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379
3141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382
3140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382
3139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383
3138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387
3137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389
3136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390
3135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392
3134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392
3133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395
3132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398
3131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405
3130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08
3129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4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