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6 04:49

영양과 ‘고은’

조회 수 10661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영양과 ‘고은’

경상북도 영양(英陽)의 옛이름은 고은(古隱)이었다. 한자 뜻을 풀이하면, 산수가 화려하여 선비들이 은둔하기에 좋은 땅쯤 된다. 본디 이 지역은 고구려 우시군(于尸郡)을 신라 경덕왕이 유린(有隣)으로 고치고, 다시 고려 태조가 영양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오늘날의 행정구역을 고려한다면 육지의 섬처럼 외져 있으니 ‘고은’이라는 땅이름이 어울리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영양의 옛이름이었던 ‘고은’은 ‘곱다’라는 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옛말에서는 어두운 홀소리와 밝은 홀소리가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으므로, ‘곱다’는 현대 국어의 ‘굽다’와 같은 뜻이 된다. 이를 고려할 때 ‘고은’은 ‘곱’에 ‘은’이 붙어 만들어진 이름으로 볼 수 있다. 특이한 경우지만 우리말에서 ‘은’이 명사를 파생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얼다’라는 말에 ‘은’이 붙어 ‘어른’을 만들어내며, ‘임시로 남의 행랑에 붙어 지내는 사람’을 뜻하는 ‘드난’은 ‘들다’와 ‘나다’를 합친 데에 ‘은’이 붙어 된 말이다.

‘고은’이 ‘굽다’에서 비롯된 말이었음은 영양을 감돌아 흐르는 ‘감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한자 땅이름으로 ‘반변천’(半邊川)·곡강(曲江)이라 부르는 이 강을 달리 ‘감내·감들내’라 부르는 데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지역은 금장산·백암산·명동산·일월산 등의 산과 장군천·장파천·반변천 등의 하천이 굽이져 만나는 곳이다. 산세와 물이 좋은 땅이므로 ‘굽다’의 다른 의미인 ‘곱다’의 뜻이 강화되어 아름답고 독특한 지역 문화를 일구어 온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1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7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673
312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409
311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440
31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446
309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555
308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726
307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293
306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378
305 연말용 상투어 風文 2022.01.25 1234
304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293
303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306
302 말과 공감 능력 風文 2022.01.26 1155
301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406
300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302
299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517
298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367
297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273
296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275
295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374
294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360
293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411
292 순직 風文 2022.02.01 1318
29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風文 2022.02.01 14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