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5 19:09

인사

조회 수 10069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인사

사람을 만나고 헤어질 때 하는 말이나 몸짓, 처음 만난 사람끼리 이름을 알리는 말짓, 은혜를 갚거나 고마움을 나타내는 말과 몸짓을 일컫어 ‘인사’라 한다. 언어예절의 고갱이를 이루는 게 ‘인사’인 셈이다.

이는 흔히 “인사는 잘해야 본전이다, 인사 이동, 정실 인사, 인사 파동, 코드 인사, 인사철 …’에서 쓰는 ‘인사’(人事)와는 좀 다르다. 그런데, 둘을 갈라 올린 국어사전도 있고, 한곳에 두 가지 풀이를 겸한 사전도 있다. 문제는 말밑(어원)을 한결같이 인사(人事)로 박아놓은 점이다.

몇 해 전 정재도님은 ‘인사말씀’의 뜻으로는 중국·일본어에서도 ‘인사’(人事)란 말을 쓰지 않음을 밝히면서 이를 고유어로 봤다. “인사깔(인삿결·인삿성), 인사발림, 인사수작, 인사치레(인사닦음·인사땜), 인삿빚, 인삿술 …”들의 ‘인사’는 인사(人事)와 무관하므로 달리 다루어야 한다는 말이다.

이 말은 소리에서도 차이가 난다. 하나는 앞의 ‘인’에 힘을 주어 짧게 [인사]라 하고, 하나는 길게 [인:사-]로 소리 낸다.

“인사를 드리다, 인사가 빠지다, 인사가 밝은 사람, 인사가 아니다, 인사를 나누다, 인사를 받다, 인사를 시키다, 인사가 없다, 감사 인사, 인사를 차리다, 인사가 늦다, 반갑게 인사하다, 인사할 새도 없다 ….” 여기서 쓰는 ‘인사’는 소리와 뜻 두루 인사(人事)와는 거리가 있는 말들이다.

인사로 시작하고 인사로 끝내니 그 말짓이 숱할밖에 없다. 때·곳·사람 따라 온갖 인사가 있다지만 서로 편안하게 주고받는 것을 윗길로 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51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1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901
1302 등골이 빠진다 바람의종 2008.01.02 9754
1301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757
1300 말 비틀기(1) 바람의종 2010.01.18 9757
1299 접수, 제출 바람의종 2008.12.17 9757
1298 경구 투여 바람의종 2012.01.24 9757
1297 ~마라 / ~말라 바람의종 2009.02.02 9761
1296 천만에 말씀 바람의종 2010.01.20 9761
1295 안갚음 바람의종 2010.10.18 9762
1294 기특하다 바람의종 2007.05.07 9764
1293 '돋구다'와 '돋우다' 바람의종 2008.06.12 9769
1292 바래, 바라 바람의종 2009.04.13 9771
1291 본따다 바람의종 2011.11.30 9777
1290 거진 다 왔소! file 바람의종 2010.01.18 9779
1289 영어식 회사명 표기 바람의종 2012.06.19 9779
1288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783
1287 꽁수, 꼼수, 뽀록나다 바람의종 2010.02.09 9783
1286 ‘첫날밤이요’ 바람의종 2010.02.21 9784
1285 장수와 장사 바람의종 2010.02.28 9784
1284 대처승 바람의종 2007.06.25 9784
1283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787
1282 꾸물꾸물한 날씨,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09.11.10 9795
1281 이것 조께 잡사 뵈겨? file 바람의종 2010.03.10 97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