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77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거제도(巨濟島)는 남해에 있는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이다. 이 섬 이름이 한 때는 ‘상군’(裳郡)이라 불렸다. 뜻으로 본다면 ‘치마’인 셈인데, 이 섬을 ‘치마’와 연관지어 부를 만한 연유를 찾기는 쉽지 않다. 그런데 최남선의 <동경통지>에서는 거제를 상군으로 부른 연유를 두고 한 구절 설명을 덧붙인 바 있다. ‘치마’를 뜻하는 속어로 ‘두룽이’가 있었다는 것이다. ‘두룽이’라는 말을 문헌에서 찾을 수는 없다. 그러나 비가 올 때 입는 ‘도롱이’는 짚이나 띠로 만들어 허리에 매어 입었으므로 ‘치마’를 뜻하는 ‘두룽이’가 속어로 쓰였다는 이야기는 충분한 근거가 있다.

‘두룽이’의 한자 표기는 ‘독로’(瀆盧)인데 우리말의 ‘도랑’에 해당하는 말이다. ‘도랑’이나 ‘두룽이’, 그리고 ‘도롱이’는 모두 ‘두르다’ 또는 ‘돌다’에서 파생된 명사다. 우리말에서 ‘두르다’에서 나온 명사는 흔치 않지만 ‘돌다’에서 파생된 말은 비교적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도리’는 ‘둘레’를 뜻할 때와 ‘주기’를 뜻할 때 쓰인다. ‘도리 기둥’이나 ‘두리 기둥’은 기둥과 기둥 사이에 돌려 얹히는 나무를 뜻한다.

거제의 땅이름이 치마나 비옷을 뜻하는 ‘두룽이’ 또는 ‘도롱이’였던 까닭은 섬 주위로 물길이 돌아들기 때문이었다. 외형상으로 전혀 무관해 보이는 ‘독로’, ‘상군’, ‘거제’가 모두 섬의 지형과 관련을 맺고 있으며, 이러한 말이 변화해 가는 과정에서도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 관계가 성립된다는 사실은 흥미로운 일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2766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4176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1Jun
    by 바람의종
    2007/06/01 by 바람의종
    Views 10289 

    거마비

  5. No Image 04Sep
    by 바람의종
    2008/09/04 by 바람의종
    Views 6756 

    거북

  6. No Image 15May
    by 바람의종
    2009/05/15 by 바람의종
    Views 9150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7. No Image 14Nov
    by 바람의종
    2011/11/14 by 바람의종
    Views 10466 

    거시기

  8. No Image 16Nov
    by 바람의종
    2010/11/16 by 바람의종
    Views 9068 

    거절과 거부

  9. No Image 15Apr
    by 바람의종
    2008/04/15 by 바람의종
    Views 8778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10. 거진 다 왔소!

  11. No Image 06Sep
    by 바람의종
    2009/09/06 by 바람의종
    Views 8286 

    거짓말

  12. No Image 19Sep
    by 風文
    2022/09/19 by 風文
    Views 1246 

    거짓말, 말, 아닌 글자

  13. No Image 30Nov
    by 風文
    2022/11/30 by 風文
    Views 1480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14. No Image 23Mar
    by 바람의종
    2010/03/23 by 바람의종
    Views 15234 

    거치다와 걸치다

  15. No Image 16May
    by 바람의종
    2012/05/16 by 바람의종
    Views 8106 

    거치장스럽다

  16. No Image 10Jul
    by 바람의종
    2008/07/10 by 바람의종
    Views 6385 

    걱정과 유감

  17. No Image 18Jul
    by 風文
    2020/07/18 by 風文
    Views 2215 

    건강한 가족 / 국경일 한글날

  18. No Image 22Dec
    by 바람의종
    2011/12/22 by 바람의종
    Views 10789 

    건넛방, 건넌방

  19. No Image 06Feb
    by 바람의종
    2010/02/06 by 바람의종
    Views 7309 

    건달

  20. No Image 01Jun
    by 바람의종
    2007/06/01 by 바람의종
    Views 8721 

    건달

  21. No Image 05Nov
    by 바람의종
    2012/11/05 by 바람의종
    Views 11607 

    건더기, 건데기

  22. No Image 19Mar
    by 바람의종
    2010/03/19 by 바람의종
    Views 12231 

    걷잡아 / 겉잡아

  23. No Image 15Aug
    by 바람의종
    2010/08/15 by 바람의종
    Views 9725 

    걸리적거리다

  24. No Image 18Dec
    by 바람의종
    2009/12/18 by 바람의종
    Views 9612 

    걸맞는? 걸맞은?

  25. No Image 07Apr
    by 바람의종
    2008/04/07 by 바람의종
    Views 9050 

    걸맞은, 알맞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