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3 18:01

일벗 사이

조회 수 995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일벗 사이

일터에서 일벗의 어버이 등 가족을 어떻게 불러야 할까? 사람을 높여 부르고 말하는 데 아래위가 따로 없다. 요즘처럼 개인의식이 드셀수록 나이·직급이 아래라고 마냥 ‘해라체’를 쓰기도 어려운데다, 전통적으로 아랫사람한테도 말대접을 그렇게 했던 까닭이다. 다만 나이 차례를 강조한데다 일터·일·위계에 따라 ‘말놓기’가 꽤 통용되기는 한다.

턱없이 권위적인 호칭이나 지칭을 깨자는 논의가 나온 지는 꽤 오래 됐다. 절로 쓰지 않게 된 말도 숱하다. 예컨대 타계한 제 아비를 ‘선친·선고·선부·선대인’, 제 아비를 높여 ‘가군·가친·엄친·가대인’, 남의 아비를 높여 ‘부친·춘부장·춘당·영존’, 남의 아내를 ‘부인·어부인·여사·영부인·귀부인·합부인’에다 ‘영규·영실·퍼스트레이디 …’로 써 무척 어지러웠다.

아내보다는 부인이, 남편보다는 부군이, 부인보다는 여사·사모님 …이 높인말로 인식된 연유는 다분히 작위적이지만, 그리 알고 써 온 바가 있어 마냥 무시하기는 어렵다. 여기서 ‘선친·부친·부인·여사·부군’ 정도는 상대를 가려 쓸 만한 말이다.

일벗의 아들딸은 아드님·따님으로, 어버이는 어머님·아버님 또는 안어른·밭어른·어르신이면 듣기에 좋다. 그 밖의 걸림말·일컫음말도 집안말을 가져다 쓰면 된다.

‘사모님·사부님’(師母-·師父-)은 윗사람 또는 스승의 아내를 높이거나, 스승을 높여 일컫고 부르는 말로 치지만, 그 조합이 ‘스승 어미, 스승 아비’로 되어 맞갖잖다. 학교 쪽이라면 안선생님·바깥선생님 또는 스승님·선생님 정도가 자연스럽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7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2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218
312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619
311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617
310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615
309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14
308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614
307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613
306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610
305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608
304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605
303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600
302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599
301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592
300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589
299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588
298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587
297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578
296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1576
295 웰다잉 -> 품위사 風文 2023.09.02 1575
294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572
293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572
292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571
291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5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