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0 16:14

버들과 땅이름

조회 수 795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버들과 땅이름

땅이름에 나무를 뜻하는 말이 들어 있는 경우는 비교적 많다. 나무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은 ‘잣나무’와 ‘소나무’다. 잣바우덕·잣방산·잣밭등·잣밭골·잣고개 등은 ‘잣’을 고유어로 나타낸 것이며, 백촌리·백곡·백성동 등은 ‘잣’의 한자어 ‘백’(柏)을 쓴 것이다. 소나무와 관련된 땅이름도 비교적 많다. ‘솔고개·솔모루’ 등이 그것이며, ‘송악’(松嶽)에도 소나무를 뜻하는 한자 ‘송’(松)이 들어 있다.

그러나 ‘송악’의 ‘송’이 ‘소나무’에서 유래된 것인지는 알 수 없으며, ‘괴산’(槐山)에 들어 있는 ‘괴’도 한자의 본뜻인 ‘홰나무’에서 온 말인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땅이름의 유래를 확인하려면, 그런 이름이 붙은 까닭을 짐작할 만한 충분한 단서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버들’와 관련된 이름을 찾는 일도 쉽지 않다. 버드나무는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하며, 민요나 옛시조에도 자주 등장하는 나무인데도 그와 관련된 땅이름을 찾기가 쉽지 않은 까닭은 무엇일까? 이와 관련한 추론 가운데 하나는 ‘버드나무’가 산스크리트어에서 왔기 때문이라는 얘기다. <이재집>에는 산스크리트어에서 버들가지를 ‘비탁가지’라고 하였다고 풀이한 바 있다. 평양을 ‘유경’(柳京)이라 한 것과 충남 해미의 개심사 들머리 ‘버드실’처럼 일부 땅이름에 ‘버들’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묏버들 가려 꺾어 보내노라 님의 손에”라는 정감 어린 시조에도 나오는 버드나무가 땅이름에 덜 쓰이는 까닭은 땅이름의 발달 과정에서 외래어가 덜 쓰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0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61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546
1896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588
1895 선낱 도고! file 바람의종 2010.03.13 10290
1894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391
1893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806
1892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576
1891 서툴러와 서툴어 바람의종 2010.09.08 11722
1890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452
1889 서울 風磬 2007.01.19 7418
1888 서식지, 군락지, 군집, 자생지 바람의종 2012.11.30 20917
1887 서슴치 않고 / 통털어 바람의종 2008.12.12 11237
1886 서방님 바람의종 2007.05.12 8525
1885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7964
1884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48
1883 서낭당 風磬 2006.12.29 7900
1882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115
1881 서나서나 허소! file 바람의종 2009.12.14 8790
1880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553
1879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30
1878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31
1877 생선, 생파 바람의종 2010.11.16 11313
1876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274
1875 생사여탈권 바람의종 2008.11.03 66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