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8 14:19

일터 말

조회 수 946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일터 말

집안을 넘어서면 일터와 일자리와 일벗이 있다. 사회를 꾸리는 온갖 동아리가 여기 든다. 예나 오늘이나, 개인·경영자, 대선후보랄 것 없이 일자리 만들기를 첫손으로 꼽는데, 집안·사원·백성을 먹여 살리는 일인 까닭이다. 일자리·일터·일벗과 거래하는 이가 ‘손님’이다. 손님은 호칭·지칭 두루 쓰는 말이고, ‘고객’은 지칭일 뿐인데, 거기다 ‘님’을 붙여 부른다. ‘님’은 아무 말에나 붙어서도 그를 높이는 구실을 하는 부닥방망이와 같다.

일터 말은 비교적 쉽다. 직책·직위·이름을 부르면 되는 까닭이다. 일본 등 직책·직위만 생짜로 부르는 쪽도 있는데, 우리완 맞지 않아서 기분이 껄끄러워지고 정나미가 떨어진다. 일터에서 위아래를 가리지 않고 성명·직책·직위에 ‘님’을 붙여 부르는 게 자연스럽고 편하다. 아랫사람에겐 ‘님’자를 꺼리지만, 인색해야 할 아무 까닭이 없다. 다만 ‘성+씨’, ‘이름+직책·직위+님’은 어울리지 않는다.

같은 분야에서 나이·지위·역량 따위가 앞선 이를 ‘선배’라 부른다. 격식을 깨뜨리지 않으면서도 정답고 편한 느낌을 준다. ‘동지’는 이념이 실린 말로서 부를 때는 동급 이하에 쓰이며, ‘동무’(벗)는 걸림말이지만 북녘에서는 부름말로도 쓴다. 두루 주로 ‘성’과 어울린다.

일터에서 이제 ‘미스·미스터’는 우스개가 된 듯하고, 오히려 집안말 아씨·언니·형이 어울릴 때가 있다. ‘씨·군·양’은 ‘하게체’ 상대를 부를 때 어울린다. 호칭은 부르고 듣기에 편하면 된다. 지나치거나 모자라면 껄끄럽게 되고, 껄끄러우면 뜻이 잘 통하지 않는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28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8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795
2006 ~ 시키다 바람의종 2008.12.10 9352
2005 숙맥 바람의종 2010.05.30 9351
2004 하영 먹어마씀! 바람의종 2009.09.06 9348
2003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48
2002 딴죽걸다 바람의종 2008.01.03 9341
2001 이루어지다, 이루다 바람의종 2009.08.04 9339
2000 정계 / 정가 바람의종 2012.07.16 9334
1999 일절 뒤에는 부정어,금지어 바람의종 2009.11.15 9333
1998 투성이 바람의종 2010.08.27 9332
1997 괜스럽다 바람의종 2010.08.05 9330
1996 하여, 하였다 바람의종 2010.01.28 9328
1995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327
1994 낼름 / 웅큼 바람의종 2009.09.18 9324
1993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24
1992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19
1991 단도직입 바람의종 2007.11.02 9318
1990 브로마이드(bromide) 바람의종 2008.02.13 9317
1989 날염, 나염 바람의종 2009.06.12 9317
1988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15
1987 우화 바람의종 2010.07.12 9313
1986 에다와 에이다 바람의종 2010.11.05 9313
1985 량, 양 (量) 바람의종 2008.10.04 93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