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220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마미지’와 ‘강진’

‘고마미지’(古馬彌知)는 전남 강진의 옛 이름이다. <난중일기>에 나타나는 ‘구미’가 ‘곶’과 같은 의미를 지녔음을 밝힌 바 있듯이, ‘고마미지’는 ‘구미’의 어원에 해당하는 말임을 알 수 있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고마미지’ 이외에도 ‘송미지’(松彌知), ‘무동미지’(武冬彌知)가 더 나타난다. 최남선이 서문을 쓴 <동경통지>(東京通志)>에, ‘미지’는 바다의 물굽이가 처진 읍(灣邑)을 일컫는다고 하였다. ‘송미지’는 지금의 전북 고창이며, ‘무동미지’는 비안 북부(庇安北部·전북 군산)인데 ‘단밀현’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또한 고려 공양왕 때 지금의 경남 통영을 ‘고성’이라 부른 적이 있다. 이 고성의 옛이름이 ‘고자미동’(古資彌冬)이다. ‘미지’의 옛 발음이 ‘미디’였음을 고려한다면, ‘미디’와 ‘미동’은 중국 한자음을 표기하는 과정에서 달라진 형태의 말임이 틀림없다. ‘미지’는 간혹 ‘미치’로 읽히기도 하였다. <동경통지>에서는 ‘고자미동’의 ‘고자’는 ‘구지’로 바뀔 수 있으며, ‘구지’는 ‘반도’(半島)의 뜻을 갖는다고 풀이하였다.

이를 고려할 때 ‘구지’, ‘구미’, ‘미지’, ‘미치’ 등은 모두 중국 한자음이 전래되는 과정에서 우리의 토박이말 ‘곶’을 다양하게 표기한 것들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전혀 무관해 보이는 말들이 어원적으로 깊은 관련이 있음을 땅이름에서 찾아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4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05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052
1412 굿 바람의종 2008.02.17 8026
1411 사면초가 바람의종 2007.11.07 8021
1410 ~에, ~에게, ~한테, ~더러 바람의종 2008.10.01 8019
1409 살피재 바람의종 2008.05.27 8018
1408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8016
1407 발바리 바람의종 2010.02.23 8016
1406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8013
1405 삿갓봉과 관악산 바람의종 2008.03.16 8012
1404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11
1403 충돌, 추돌 바람의종 2008.11.12 8011
1402 옥석구분 바람의종 2008.12.18 8010
1401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8008
1400 헬스 다이어트 바람의종 2009.04.14 8007
1399 버들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4.10 8005
1398 씨알머리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0 8004
1397 팔색조 바람의종 2009.10.07 8003
1396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8003
1395 불현듯이 風磬 2006.12.23 7995
1394 자주꽃방망이 바람의종 2008.03.29 7994
1393 바이크 바람의종 2009.09.21 7987
1392 해거름, 고샅 바람의종 2008.10.11 7986
1391 낙점 바람의종 2007.06.09 79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