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13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마미지’와 ‘강진’

‘고마미지’(古馬彌知)는 전남 강진의 옛 이름이다. <난중일기>에 나타나는 ‘구미’가 ‘곶’과 같은 의미를 지녔음을 밝힌 바 있듯이, ‘고마미지’는 ‘구미’의 어원에 해당하는 말임을 알 수 있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고마미지’ 이외에도 ‘송미지’(松彌知), ‘무동미지’(武冬彌知)가 더 나타난다. 최남선이 서문을 쓴 <동경통지>(東京通志)>에, ‘미지’는 바다의 물굽이가 처진 읍(灣邑)을 일컫는다고 하였다. ‘송미지’는 지금의 전북 고창이며, ‘무동미지’는 비안 북부(庇安北部·전북 군산)인데 ‘단밀현’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또한 고려 공양왕 때 지금의 경남 통영을 ‘고성’이라 부른 적이 있다. 이 고성의 옛이름이 ‘고자미동’(古資彌冬)이다. ‘미지’의 옛 발음이 ‘미디’였음을 고려한다면, ‘미디’와 ‘미동’은 중국 한자음을 표기하는 과정에서 달라진 형태의 말임이 틀림없다. ‘미지’는 간혹 ‘미치’로 읽히기도 하였다. <동경통지>에서는 ‘고자미동’의 ‘고자’는 ‘구지’로 바뀔 수 있으며, ‘구지’는 ‘반도’(半島)의 뜻을 갖는다고 풀이하였다.

이를 고려할 때 ‘구지’, ‘구미’, ‘미지’, ‘미치’ 등은 모두 중국 한자음이 전래되는 과정에서 우리의 토박이말 ‘곶’을 다양하게 표기한 것들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전혀 무관해 보이는 말들이 어원적으로 깊은 관련이 있음을 땅이름에서 찾아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0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59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583
2072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07
2071 우레, 우뢰 바람의종 2009.08.02 7911
2070 그저, 거저 바람의종 2010.01.15 7911
2069 오누이 바람의종 2008.03.31 7914
2068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14
2067 나그내 file 바람의종 2009.11.03 7914
2066 늘이다 / 늘리다 바람의종 2008.05.22 7915
2065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7916
2064 서낭당 風磬 2006.12.29 7917
2063 꽝포쟁이 바람의종 2008.03.25 7918
2062 진짜 바람의종 2010.04.30 7919
2061 마초 바람의종 2010.03.14 7922
2060 자주꽃방망이 바람의종 2008.03.29 7924
2059 비만인 사람, 비만이다 바람의종 2009.09.29 7924
2058 바람의종 2009.07.31 7926
2057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7931
2056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32
2055 보약 다리기 바람의종 2008.09.25 7933
2054 매무시 風磬 2006.11.26 7934
2053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바람의종 2008.10.17 7934
2052 커닝 바람의종 2009.10.27 7935
2051 백넘버, 노게임 바람의종 2011.11.13 79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