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7 11:02

산오이풀

조회 수 7285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산오이풀

늦여름 산에 높이 올랐을 때 무리지어 핀 ‘산오이풀’은 보는 이들에게 산에 오른 보람을 느끼게 해 준다. 멀리서 보면 강아지풀 같은데, 가까이서 보면 잎이 길쭉하지도 않고, 빛깔도 자줏빛이다. ‘오이풀’은 잎에서 오이냄새가 나기에 붙은 이름인데, 이름의 연유를 아는 사람들은 이따금 냄새를 맡아보기도 한다. 게다가 꽃이 길게 생긴 것도 한 이유가 될 성 싶다. 거기에 높은 산에서 자라서 ‘산오이풀’이란 이름을 붙였다.

오이냄새가 나는 연유에다 다른 특성까지 담은 ‘가는오이풀/ 긴오이풀/ 큰오이풀/ 애기오이풀’들도 있다. 이는 두드러진 특성인 냄새를 먼저 고려하고 다음으로 모양이나 사는 데를 이름에 반영한 것이다. 오이풀처럼 냄새를 바탕으로 이름 지은 것에는 잎과 줄기를 문지르면 생강냄새가 나는 ‘생강나무’, 꽃에서 노루오줌 냄새가 난다는 ‘노루오줌’ 들도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꽃으로 알려진 ‘타이탄 아룸’(Titan Arum)은 짐승의 주검 썩는 냄새가 지독하다고 하여 ‘시체꽃’이란 별명이 붙었는데, 큰 꽃을 갉아먹으려 가까이오는 해충을 막고자 그런다고 하니, 식물이 살아가는 방법도 가지가지라는 생각이 든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산오이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29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9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669
3150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714
3149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720
3148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721
3147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721
3146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風文 2020.06.06 1723
3145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724
3144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724
3143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724
3142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724
3141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725
3140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726
3139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727
3138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728
3137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風文 2020.06.16 1731
3136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732
3135 단골 風文 2023.05.22 1732
3134 너무 風文 2023.04.24 1737
3133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738
3132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739
3131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740
3130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742
3129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7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