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6 11:01

이름 부르기

조회 수 7309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름 부르기

명함 주고받기가 만남의 의례로 굳어진 지도 제법 된 성싶다. 아는 이도 신상·연락처 변동이 있다며 명함을 준다. 이름에 하는 일, 직장·직책, 전화번호·전자우편·주소가 곁들인다. 전자명함도 유행이다. ‘이름’(성명)이 사람에 버금가는 존재가 된 셈이다. 이름은 지칭·호칭으로 두루 쓰인다. 사람을 부르는 방식에는, 성과 이름 따로 부를 때, 성명을 아울러 부를 때 등 셋이 있고, 어이·야·여보 … 따위로 부르기도 한다.

“홍길동·길동·홍, 홍길동씨·길동씨·홍씨, 홍길동 과장님·(길동 과장님)·홍 과장님, 홍길동 선생님·(길동 선생님)·홍 선생님.”

아이들 기준으로는 이름만 부르는 게 제일 자연스럽다. 부름토 ‘아/야’나 ‘이’는 이름만 떼어 부를 때 붙인다. ‘씨’를 붙여 직접 사람을 부를 때는 맞먹는 사이나 아랫사람이 아니면 어울리지 않는다. 성만으로는 부름말이 못되고, ‘씨’를 붙여도 낮잡는 느낌을 주므로 삼가야 한다. 성만 쓸 때는 직함·존칭을 넣어 불러야 한다. 성만 쓰는 방식은 서양식이다. 제3자를 일컬을 때나 글에서는 성에 씨를 붙인 말도 가끔 쓰기는 한다. 부장님·선생님은 ‘성명·성’과 어울리고 ‘이름+직함, 이름+존칭’은 어울리지 않는다.

지난 세기 이전에는 이름 대신 자(字)나 호(號), 택호를 지어 불렀다. ‘씨’(氏)는 20세기 이전에는 쓰이지 않던 혹 같은 존재로, 소리도 뜻도 재미가 없다. 이를 대체할 좋은 말이 ‘님’이다. 아무튼 평생 이름 하나로 불리는 시대가 됐으니 이름을 잘 짓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13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105
311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394
310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528
309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863
308 갈기갈기, 갈래갈래,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9.10.28 10700
307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440
306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14
305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369
304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597
303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425
302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376
301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297
300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613
299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167
298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785
297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434
296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559
295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060
294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232
293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396
292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640
291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1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