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6 11:01

이름 부르기

조회 수 7307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름 부르기

명함 주고받기가 만남의 의례로 굳어진 지도 제법 된 성싶다. 아는 이도 신상·연락처 변동이 있다며 명함을 준다. 이름에 하는 일, 직장·직책, 전화번호·전자우편·주소가 곁들인다. 전자명함도 유행이다. ‘이름’(성명)이 사람에 버금가는 존재가 된 셈이다. 이름은 지칭·호칭으로 두루 쓰인다. 사람을 부르는 방식에는, 성과 이름 따로 부를 때, 성명을 아울러 부를 때 등 셋이 있고, 어이·야·여보 … 따위로 부르기도 한다.

“홍길동·길동·홍, 홍길동씨·길동씨·홍씨, 홍길동 과장님·(길동 과장님)·홍 과장님, 홍길동 선생님·(길동 선생님)·홍 선생님.”

아이들 기준으로는 이름만 부르는 게 제일 자연스럽다. 부름토 ‘아/야’나 ‘이’는 이름만 떼어 부를 때 붙인다. ‘씨’를 붙여 직접 사람을 부를 때는 맞먹는 사이나 아랫사람이 아니면 어울리지 않는다. 성만으로는 부름말이 못되고, ‘씨’를 붙여도 낮잡는 느낌을 주므로 삼가야 한다. 성만 쓸 때는 직함·존칭을 넣어 불러야 한다. 성만 쓰는 방식은 서양식이다. 제3자를 일컬을 때나 글에서는 성에 씨를 붙인 말도 가끔 쓰기는 한다. 부장님·선생님은 ‘성명·성’과 어울리고 ‘이름+직함, 이름+존칭’은 어울리지 않는다.

지난 세기 이전에는 이름 대신 자(字)나 호(號), 택호를 지어 불렀다. ‘씨’(氏)는 20세기 이전에는 쓰이지 않던 혹 같은 존재로, 소리도 뜻도 재미가 없다. 이를 대체할 좋은 말이 ‘님’이다. 아무튼 평생 이름 하나로 불리는 시대가 됐으니 이름을 잘 짓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3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8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784
312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381
311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398
31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411
309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523
308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706
307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268
306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289
305 연말용 상투어 風文 2022.01.25 1180
304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250
303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237
302 말과 공감 능력 風文 2022.01.26 1120
301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361
300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261
299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465
298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297
297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247
296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226
295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328
294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317
293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344
292 순직 風文 2022.02.01 1264
29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風文 2022.02.01 14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