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5 10:38

해오라기난초

조회 수 8729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오라기난초

풀꽃이나 이를 박은 사진을 보면, 탄성이 절로 날 때가 있다. 사람이 만든 어떤 예술품도 신의 수준을 절대 따라가지 못하나니, 어쩜 이렇게 생길 수가! 할 정도로 빛깔·모양이 멋지고 신기한 것 중에 ‘해오라기난초’가 있다. 활짝 핀 모습이 날개를 펴고 나는 해오라기를 닮았다. ‘해오라비난초’라고도 하는데, ‘해오라비’는 ‘해오라기’의 경상도 고장말이다. ‘해오라기’의 ‘해’는 ‘희다’와 통한다. 이는 ‘풀’에서 ‘푸르다’가 나온 것과 마찬가지로, ‘해’에서 ‘희다’가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오라기’는 해오라기가 ‘해오리’로도 불린 것을 보면, ‘오리’와 연관된 말일 수 있겠다. ‘해오라기’를 백로(白鷺)로 일컫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백로·해오라기·왜가리는 다르다. 백로는 이 셋을 통틀어 이르며, 흔히 까마귀와 맞견주는 백로가 실은 중백로인데, 이 꽃은 해오라기보다는 중백로를 닮았다. 날아가는 해오라기보다 꽃이름이 더 멋진데, 실제로 그 모습까지 금방이라도 꽃대에서 날아오를 듯한 까닭이다. “해오라비조는 곁에서/ 물뱀의 새끼를 업고 나는 꿈을 꾸었다”는 백석의 시 ‘늙은 갈대의 독백’처럼 동물과 식물이 소통하는 자연의 어울림을 여기서 본다.
 


 
[해오라기난초]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7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4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056
312 위례성과 아리수 바람의종 2008.04.24 9002
311 나비나물 바람의종 2008.04.24 6096
310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10018
309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9132
308 예식장 바람의종 2008.04.22 7061
307 술이홀과 파주 바람의종 2008.04.22 7759
306 꽃무릇 바람의종 2008.04.21 6316
305 논개 바람의종 2008.04.21 8609
304 기윽 디읃 시읏 바람의종 2008.04.20 11170
303 나들이 바람의종 2008.04.20 8874
302 금산과 진내을 바람의종 2008.04.19 7060
301 쑥부쟁이 바람의종 2008.04.19 7563
300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845
299 인사말 바람의종 2008.04.17 7446
298 영양과 ‘고은’ 바람의종 2008.04.16 10864
297 인사 바람의종 2008.04.15 10091
296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바람의종 2008.04.15 8806
295 분꽃 바람의종 2008.04.14 7412
294 곧은밸 바람의종 2008.04.13 6802
293 일벗 사이 바람의종 2008.04.13 10082
292 버들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4.10 8200
291 비비추 바람의종 2008.04.10 68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