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5 10:38

해오라기난초

조회 수 8380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오라기난초

풀꽃이나 이를 박은 사진을 보면, 탄성이 절로 날 때가 있다. 사람이 만든 어떤 예술품도 신의 수준을 절대 따라가지 못하나니, 어쩜 이렇게 생길 수가! 할 정도로 빛깔·모양이 멋지고 신기한 것 중에 ‘해오라기난초’가 있다. 활짝 핀 모습이 날개를 펴고 나는 해오라기를 닮았다. ‘해오라비난초’라고도 하는데, ‘해오라비’는 ‘해오라기’의 경상도 고장말이다. ‘해오라기’의 ‘해’는 ‘희다’와 통한다. 이는 ‘풀’에서 ‘푸르다’가 나온 것과 마찬가지로, ‘해’에서 ‘희다’가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오라기’는 해오라기가 ‘해오리’로도 불린 것을 보면, ‘오리’와 연관된 말일 수 있겠다. ‘해오라기’를 백로(白鷺)로 일컫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백로·해오라기·왜가리는 다르다. 백로는 이 셋을 통틀어 이르며, 흔히 까마귀와 맞견주는 백로가 실은 중백로인데, 이 꽃은 해오라기보다는 중백로를 닮았다. 날아가는 해오라기보다 꽃이름이 더 멋진데, 실제로 그 모습까지 금방이라도 꽃대에서 날아오를 듯한 까닭이다. “해오라비조는 곁에서/ 물뱀의 새끼를 업고 나는 꿈을 꾸었다”는 백석의 시 ‘늙은 갈대의 독백’처럼 동물과 식물이 소통하는 자연의 어울림을 여기서 본다.
 


 
[해오라기난초]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51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98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033
1478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128
1477 뚱딴지 바람의종 2008.02.02 8127
1476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125
1475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23
1474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122
1473 유도리 바람의종 2008.02.18 8121
1472 도로아미타불 바람의종 2008.02.05 8120
1471 눈높이 바람의종 2008.04.09 8118
1470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17
1469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16
1468 열 딸라 바람의종 2008.05.27 8115
1467 아무럼 / 아무렴 바람의종 2010.05.10 8114
1466 빈대떡 바람의종 2010.09.01 8114
1465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13
1464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111
1463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110
1462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109
1461 발음상의 특징 바람의종 2010.01.15 8109
1460 치고박고 바람의종 2009.03.26 8109
1459 진검승부 바람의종 2010.05.11 8107
1458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06
1457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0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