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5 10:38

해오라기난초

조회 수 8737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오라기난초

풀꽃이나 이를 박은 사진을 보면, 탄성이 절로 날 때가 있다. 사람이 만든 어떤 예술품도 신의 수준을 절대 따라가지 못하나니, 어쩜 이렇게 생길 수가! 할 정도로 빛깔·모양이 멋지고 신기한 것 중에 ‘해오라기난초’가 있다. 활짝 핀 모습이 날개를 펴고 나는 해오라기를 닮았다. ‘해오라비난초’라고도 하는데, ‘해오라비’는 ‘해오라기’의 경상도 고장말이다. ‘해오라기’의 ‘해’는 ‘희다’와 통한다. 이는 ‘풀’에서 ‘푸르다’가 나온 것과 마찬가지로, ‘해’에서 ‘희다’가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오라기’는 해오라기가 ‘해오리’로도 불린 것을 보면, ‘오리’와 연관된 말일 수 있겠다. ‘해오라기’를 백로(白鷺)로 일컫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백로·해오라기·왜가리는 다르다. 백로는 이 셋을 통틀어 이르며, 흔히 까마귀와 맞견주는 백로가 실은 중백로인데, 이 꽃은 해오라기보다는 중백로를 닮았다. 날아가는 해오라기보다 꽃이름이 더 멋진데, 실제로 그 모습까지 금방이라도 꽃대에서 날아오를 듯한 까닭이다. “해오라비조는 곁에서/ 물뱀의 새끼를 업고 나는 꿈을 꾸었다”는 백석의 시 ‘늙은 갈대의 독백’처럼 동물과 식물이 소통하는 자연의 어울림을 여기서 본다.
 


 
[해오라기난초]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32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9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642
312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620
311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674
31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648
309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784
308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930
307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534
306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637
305 연말용 상투어 風文 2022.01.25 1490
304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555
303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520
302 말과 공감 능력 風文 2022.01.26 1410
301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726
300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556
299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757
298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661
297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519
296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539
295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593
294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612
293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718
292 순직 風文 2022.02.01 1631
29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風文 2022.02.01 17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