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5 10:38

해오라기난초

조회 수 8445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오라기난초

풀꽃이나 이를 박은 사진을 보면, 탄성이 절로 날 때가 있다. 사람이 만든 어떤 예술품도 신의 수준을 절대 따라가지 못하나니, 어쩜 이렇게 생길 수가! 할 정도로 빛깔·모양이 멋지고 신기한 것 중에 ‘해오라기난초’가 있다. 활짝 핀 모습이 날개를 펴고 나는 해오라기를 닮았다. ‘해오라비난초’라고도 하는데, ‘해오라비’는 ‘해오라기’의 경상도 고장말이다. ‘해오라기’의 ‘해’는 ‘희다’와 통한다. 이는 ‘풀’에서 ‘푸르다’가 나온 것과 마찬가지로, ‘해’에서 ‘희다’가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오라기’는 해오라기가 ‘해오리’로도 불린 것을 보면, ‘오리’와 연관된 말일 수 있겠다. ‘해오라기’를 백로(白鷺)로 일컫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백로·해오라기·왜가리는 다르다. 백로는 이 셋을 통틀어 이르며, 흔히 까마귀와 맞견주는 백로가 실은 중백로인데, 이 꽃은 해오라기보다는 중백로를 닮았다. 날아가는 해오라기보다 꽃이름이 더 멋진데, 실제로 그 모습까지 금방이라도 꽃대에서 날아오를 듯한 까닭이다. “해오라비조는 곁에서/ 물뱀의 새끼를 업고 나는 꿈을 꾸었다”는 백석의 시 ‘늙은 갈대의 독백’처럼 동물과 식물이 소통하는 자연의 어울림을 여기서 본다.
 


 
[해오라기난초]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2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7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769
1962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08.11.14 8149
1961 따오기 바람의종 2009.05.02 8150
1960 금지옥엽 바람의종 2007.10.31 8153
1959 뚱딴지 바람의종 2008.02.02 8154
1958 무량대수 바람의종 2008.04.16 8160
1957 촌지 바람의종 2007.10.25 8167
1956 죽전과 삿대수 바람의종 2008.06.14 8168
1955 길이름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0.07.30 8168
1954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169
1953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70
1952 분노와 대로 바람의종 2010.08.06 8173
1951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174
1950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176
1949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177
1948 막바로 바람의종 2007.12.28 8178
1947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81
1946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182
1945 반지락, 아나고 바람의종 2008.09.04 8182
1944 노파심 바람의종 2007.06.12 8183
1943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185
1942 ~이라야, ~이래야 바람의종 2010.04.13 8189
1941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1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