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5 10:38

해오라기난초

조회 수 8468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오라기난초

풀꽃이나 이를 박은 사진을 보면, 탄성이 절로 날 때가 있다. 사람이 만든 어떤 예술품도 신의 수준을 절대 따라가지 못하나니, 어쩜 이렇게 생길 수가! 할 정도로 빛깔·모양이 멋지고 신기한 것 중에 ‘해오라기난초’가 있다. 활짝 핀 모습이 날개를 펴고 나는 해오라기를 닮았다. ‘해오라비난초’라고도 하는데, ‘해오라비’는 ‘해오라기’의 경상도 고장말이다. ‘해오라기’의 ‘해’는 ‘희다’와 통한다. 이는 ‘풀’에서 ‘푸르다’가 나온 것과 마찬가지로, ‘해’에서 ‘희다’가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오라기’는 해오라기가 ‘해오리’로도 불린 것을 보면, ‘오리’와 연관된 말일 수 있겠다. ‘해오라기’를 백로(白鷺)로 일컫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백로·해오라기·왜가리는 다르다. 백로는 이 셋을 통틀어 이르며, 흔히 까마귀와 맞견주는 백로가 실은 중백로인데, 이 꽃은 해오라기보다는 중백로를 닮았다. 날아가는 해오라기보다 꽃이름이 더 멋진데, 실제로 그 모습까지 금방이라도 꽃대에서 날아오를 듯한 까닭이다. “해오라비조는 곁에서/ 물뱀의 새끼를 업고 나는 꿈을 꾸었다”는 백석의 시 ‘늙은 갈대의 독백’처럼 동물과 식물이 소통하는 자연의 어울림을 여기서 본다.
 


 
[해오라기난초]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5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16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162
290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744
289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38
288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561
287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612
286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271
285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422
284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917
283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611
282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136
281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245
280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762
279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836
278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164
277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694
276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339
275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133
274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558
273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561
272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10048
271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344
270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344
269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