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5 10:38

해오라기난초

조회 수 8571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오라기난초

풀꽃이나 이를 박은 사진을 보면, 탄성이 절로 날 때가 있다. 사람이 만든 어떤 예술품도 신의 수준을 절대 따라가지 못하나니, 어쩜 이렇게 생길 수가! 할 정도로 빛깔·모양이 멋지고 신기한 것 중에 ‘해오라기난초’가 있다. 활짝 핀 모습이 날개를 펴고 나는 해오라기를 닮았다. ‘해오라비난초’라고도 하는데, ‘해오라비’는 ‘해오라기’의 경상도 고장말이다. ‘해오라기’의 ‘해’는 ‘희다’와 통한다. 이는 ‘풀’에서 ‘푸르다’가 나온 것과 마찬가지로, ‘해’에서 ‘희다’가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오라기’는 해오라기가 ‘해오리’로도 불린 것을 보면, ‘오리’와 연관된 말일 수 있겠다. ‘해오라기’를 백로(白鷺)로 일컫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백로·해오라기·왜가리는 다르다. 백로는 이 셋을 통틀어 이르며, 흔히 까마귀와 맞견주는 백로가 실은 중백로인데, 이 꽃은 해오라기보다는 중백로를 닮았다. 날아가는 해오라기보다 꽃이름이 더 멋진데, 실제로 그 모습까지 금방이라도 꽃대에서 날아오를 듯한 까닭이다. “해오라비조는 곁에서/ 물뱀의 새끼를 업고 나는 꿈을 꾸었다”는 백석의 시 ‘늙은 갈대의 독백’처럼 동물과 식물이 소통하는 자연의 어울림을 여기서 본다.
 


 
[해오라기난초]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1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7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621
3172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567
3171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570
3170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571
3169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571
3168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571
3167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575
3166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577
3165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578
3164 ‘~스런’ 風文 2023.12.29 1579
3163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585
3162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585
3161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585
3160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585
3159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586
3158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1592
3157 지식생산, 동의함 風文 2022.07.10 1592
3156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593
315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風文 2022.02.01 1594
3154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594
3153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597
3152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598
3151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6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