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5 10:37

한내와 가린내

조회 수 9633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내와 가린내

<열녀춘향수절가>에는 암행어사 이몽룡이 전라도 초읍인 여산에서 일행을 세 갈래로 나누어 떠나보내는 장면이 나온다. 한 갈래는 진산·금산·무주·용담·진안·장수·운봉·구례로 돌아드는 서리패들의 전라 좌도고, 또 한 갈래는 용안·함열·임피·옥구·김제·만경·고부·부안·흥덕·고창·장성 등을 거치는 중방 역졸패의 우도다. 그리고 한 패는 종사들로 익산·금구·태인·정읍·순창·옥과·광주·나주·창평 등지를 거치도록 하였다. 자신은 헌 파립과 망건을 의뭉하게 차리고 삼례를 거쳐 완산 팔경을 구경하며 남원으로 내려간다.

그런데 암행어사가 거쳐 간 땅이름 가운데 “한내 쥬엽졩이, 가린내 싱금졍, 숩졍이, 공북누”가 있다. 얼핏 보기에는 쥬엽졩이, 싱금졍, 숩졍이도 땅이름처럼 보이나 이들은 ‘공북누’와 함께 정자이거나 누각임이 틀림없다. 흥미로운 것은 여기 나오는 ‘한내’와 ‘가린내’다. ‘한내’는 ‘크다’의 뜻을 지닌 ‘한’에 ‘내’가 붙은 말로 ‘대천’에 해당한다. 지금의 대천은 충남 보령이므로 춘향가에 나오는 대천과는 관련이 없다. 달리 말해 ‘큰 내’를 뜻하는 ‘한내’도 보편적으로 널리 쓰인 땅이름이다.

‘가린내’는 ‘한내’와는 대립적인 뜻을 갖는 말이다. 이 말은 ‘가늘다’의 다른 형태인 ‘가ㄹ.다’(‘가루’의 어원)에 ‘내’가 붙은 말이다. 곧 ‘가는내’ 또는 ‘가ㄹ.ㄴ내’에 해당하는 셈이다. 이런 뜻의 ‘가린내’는 제주도 한림읍 금악리에도 있다. 비슷한 형태로 좁고 가는 골짜기를 뜻하는 ‘가는골’도 산골 마을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1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7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406
1566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138
1565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141
1564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44
1563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9147
1562 떨려나다 바람의종 2008.01.11 9148
1561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9152
1560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53
1559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55
1558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56
1557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59
1556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60
1555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62
1554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67
1553 ‘안 되’는 ‘안 돼’ 바람의종 2009.11.24 9170
1552 ~과 다름 아니다 바람의종 2008.11.01 9175
1551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181
1550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9181
1549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81
1548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81
1547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82
1546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9187
1545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1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