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4 14:52

거꿀반명제

조회 수 612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거꿀반명제

논리학·수학 등에서 사용되는 명제는 ‘논리적 판단 내용과 주장을 언어나 기호로 표시한 것’으로, 참과 거짓을 판단할 수 있을 때 성립된다. 명제는 가정과 결론으로 구성되는데, “(어떤 것이) 고래라면, 포유동물이다”에서 ‘(어떤 것이) 고래라면’은 가정이고, ‘포유동물이다’는 결론이다. 명제에는 다시 역명제·이명제·대우명제가 있는데, 그 용어가 개념만큼이나 어렵다. 역(逆)은 ‘거스를 역’이므로 가정과 결론을 뒤바꾼 명제를 말한다. “(어떤 것이) 젖먹이동물이라면, 고래다”가 원래 명제의 역명제다. 북녘말로는 ‘거꿀명제’라 한다. ‘명제를 거꾸로 했다’는 뜻으로 보인다.

이(裏)는 ‘표리 관계’에 쓰이는 ‘속·안 리’이므로 ‘본래의 명제를 뒤집은 것’을 말한다. 뒤집었다는 것은 가정과 결론을 모두 부정함을 뜻한다. “(어떤 것이) 고래가 아니라면, 젖먹이동물이 아니다”는 원래 명제의 이명제다. 북녘말로는 ‘반명제’(反命題)라 한다. 접두사 ‘반-’이 쓰인 것으로 보인다. 대우(對偶)는 북녘말로 ‘거꿀반명제’이다. 원래 명제를 ‘반명제’로 만든 뒤 ‘거꿀명제’로 만든 것을 말한다. “(어떤 것이) 젖먹이동물이 아니라면, 고래가 아니다”는 원래 명제의 ‘거꿀반명제’다.

역명제·이명제도 어렵지만, 대우명제는 한자로도 이해하기 어렵고, 역명제나 이명제와의 관계도 드러나지 않는다. 차라리 ‘역이명제’로 쓰는 것이 낫겠고, 그보다는 쉬운 북녘말 ‘거꿀명제, 반명제, 거꿀반명제’를 쓰는 것도 괜찮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9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40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306
290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633
289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05
288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455
287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523
286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036
285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226
284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875
283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569
282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077
281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065
280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694
279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724
278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093
277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615
276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275
275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006
274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468
273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385
272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9963
271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300
270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283
269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