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4 14:52

거꿀반명제

조회 수 6268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거꿀반명제

논리학·수학 등에서 사용되는 명제는 ‘논리적 판단 내용과 주장을 언어나 기호로 표시한 것’으로, 참과 거짓을 판단할 수 있을 때 성립된다. 명제는 가정과 결론으로 구성되는데, “(어떤 것이) 고래라면, 포유동물이다”에서 ‘(어떤 것이) 고래라면’은 가정이고, ‘포유동물이다’는 결론이다. 명제에는 다시 역명제·이명제·대우명제가 있는데, 그 용어가 개념만큼이나 어렵다. 역(逆)은 ‘거스를 역’이므로 가정과 결론을 뒤바꾼 명제를 말한다. “(어떤 것이) 젖먹이동물이라면, 고래다”가 원래 명제의 역명제다. 북녘말로는 ‘거꿀명제’라 한다. ‘명제를 거꾸로 했다’는 뜻으로 보인다.

이(裏)는 ‘표리 관계’에 쓰이는 ‘속·안 리’이므로 ‘본래의 명제를 뒤집은 것’을 말한다. 뒤집었다는 것은 가정과 결론을 모두 부정함을 뜻한다. “(어떤 것이) 고래가 아니라면, 젖먹이동물이 아니다”는 원래 명제의 이명제다. 북녘말로는 ‘반명제’(反命題)라 한다. 접두사 ‘반-’이 쓰인 것으로 보인다. 대우(對偶)는 북녘말로 ‘거꿀반명제’이다. 원래 명제를 ‘반명제’로 만든 뒤 ‘거꿀명제’로 만든 것을 말한다. “(어떤 것이) 젖먹이동물이 아니라면, 고래가 아니다”는 원래 명제의 ‘거꿀반명제’다.

역명제·이명제도 어렵지만, 대우명제는 한자로도 이해하기 어렵고, 역명제나 이명제와의 관계도 드러나지 않는다. 차라리 ‘역이명제’로 쓰는 것이 낫겠고, 그보다는 쉬운 북녘말 ‘거꿀명제, 반명제, 거꿀반명제’를 쓰는 것도 괜찮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9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5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12
3172 연륜 바람의종 2007.08.03 8539
3171 연미복 바람의종 2007.08.03 8046
3170 영감 바람의종 2007.08.07 7782
3169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644
3168 영남, 영동, 영서 바람의종 2007.08.09 11352
3167 영부인 바람의종 2007.08.09 7921
3166 오장육부 바람의종 2007.08.10 9735
3165 와중 바람의종 2007.08.10 6939
3164 요지경 바람의종 2007.08.11 10918
3163 용수철 바람의종 2007.08.11 7054
3162 은행 바람의종 2007.08.13 6850
3161 자문 바람의종 2007.08.13 7385
3160 자정 바람의종 2007.08.14 7740
3159 장본인 바람의종 2007.08.14 8620
3158 장안 바람의종 2007.08.15 9274
3157 재야 바람의종 2007.08.15 7742
3156 적자 바람의종 2007.08.16 13281
3155 전하 바람의종 2007.08.16 7020
3154 점고 바람의종 2007.08.17 7399
3153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313
3152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790
3151 조장 바람의종 2007.08.18 71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