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3 09:09

무너미·목넘이

조회 수 6744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너미·목넘이

황순원의 소설 <목넘이 마을의 개>는 한 마을에 흘러들어 온 신둥이(흰둥이)의 강인한 삶을 통하여 온갖 고난을 이겨내는 우리 겨레를 상징한 소설로 알려졌다. 소설 속의 ‘목 넘이 마을’은 사방 산으로 둘러싸여 어느 곳이든 ‘목’을 넘어야 갈 수 있는 마을이어서 붙은 이름이다. 이야기 배경이 평안도 어느 마을로 설정돼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느 곳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황순원이 평안도 대동 출생이니 그곳 어디쯤에 있는 땅이름일 가능성이 높다.

‘목 넘이 마을’처럼 ‘넘다’라는 말이 들어간 땅이름도 비교적 흔히 찾을 수 있다. 중세어에서 ‘넘다’는 ‘남다’와 함께 쓰였다. 두 말이 모두 ‘넘는다, 지나치다. 남다’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말이었다. 예를 들어 “백년이 하마 반이 남으니”라는 말은 “백년이 벌써 반이나 지나가니”라는 뜻이며, <석보상절>에서는 한자어 ‘과’(過)를 ‘넘다’로 풀이한 바 있다. 이는 중세어에서 ‘넘다’와 ‘남다’가 넘나들며 쓰였음을 뜻한다. 이 말이 차츰 분화하여 ‘남다’와 ‘넘다’가 전혀 다른 뜻의 말이 되었다.

그런데 땅이름에서는 ‘남다’의 의미를 갖는 것은 찾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넘다’의 경우는 ‘너미’라는 형태로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무너미’는 ‘둑이나 저수지에서 물이 넘어가는 곳’ 또는 ‘물 건너 마을’을 뜻한다. ‘목 넘이’의 ‘넘이’도 마찬가지다. ‘넘다’에 이름씨를 만드는 뒷가지 ‘이’가 붙어 땅이름으로 자연스럽게 쓰인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7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3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237
2072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43
2071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541
2070 지붕 바람의종 2010.05.31 9540
2069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39
2068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38
2067 라틴아메리카 언어 바람의종 2008.02.18 9536
2066 ~같이 바람의종 2010.05.10 9536
2065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33
2064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26
2063 막역/막연, 모사/묘사 바람의종 2008.06.13 9523
2062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22
2061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20
2060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515
2059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15
2058 -화하다, -화되다 바람의종 2009.08.07 9511
2057 ~답다, ~스럽다 바람의종 2010.11.21 9510
2056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07
2055 라면 바람의종 2010.05.10 9500
2054 집중호우 -> 장대비 바람의종 2012.06.22 9500
2053 ‘하므로’와 ‘함으로’ 바람의종 2009.12.04 9499
2052 구별과 구분 바람의종 2010.11.02 9499
2051 미주알고주알 밑두리콧두리 바람의종 2010.01.22 94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