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3 09:09

무너미·목넘이

조회 수 695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너미·목넘이

황순원의 소설 <목넘이 마을의 개>는 한 마을에 흘러들어 온 신둥이(흰둥이)의 강인한 삶을 통하여 온갖 고난을 이겨내는 우리 겨레를 상징한 소설로 알려졌다. 소설 속의 ‘목 넘이 마을’은 사방 산으로 둘러싸여 어느 곳이든 ‘목’을 넘어야 갈 수 있는 마을이어서 붙은 이름이다. 이야기 배경이 평안도 어느 마을로 설정돼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느 곳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황순원이 평안도 대동 출생이니 그곳 어디쯤에 있는 땅이름일 가능성이 높다.

‘목 넘이 마을’처럼 ‘넘다’라는 말이 들어간 땅이름도 비교적 흔히 찾을 수 있다. 중세어에서 ‘넘다’는 ‘남다’와 함께 쓰였다. 두 말이 모두 ‘넘는다, 지나치다. 남다’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말이었다. 예를 들어 “백년이 하마 반이 남으니”라는 말은 “백년이 벌써 반이나 지나가니”라는 뜻이며, <석보상절>에서는 한자어 ‘과’(過)를 ‘넘다’로 풀이한 바 있다. 이는 중세어에서 ‘넘다’와 ‘남다’가 넘나들며 쓰였음을 뜻한다. 이 말이 차츰 분화하여 ‘남다’와 ‘넘다’가 전혀 다른 뜻의 말이 되었다.

그런데 땅이름에서는 ‘남다’의 의미를 갖는 것은 찾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넘다’의 경우는 ‘너미’라는 형태로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무너미’는 ‘둑이나 저수지에서 물이 넘어가는 곳’ 또는 ‘물 건너 마을’을 뜻한다. ‘목 넘이’의 ‘넘이’도 마찬가지다. ‘넘다’에 이름씨를 만드는 뒷가지 ‘이’가 붙어 땅이름으로 자연스럽게 쓰인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5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2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930
2622 도라산역 바람의종 2008.03.29 5902
2621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516
2620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6100
2619 명량·울돌목 바람의종 2008.03.30 7238
2618 오누이 바람의종 2008.03.31 8115
2617 직통생 바람의종 2008.03.31 7385
2616 괘씸죄 바람의종 2008.03.31 7913
2615 로또 복권 바람의종 2008.03.31 8884
2614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379
2613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8175
2612 마라초 바람의종 2008.04.01 6443
2611 "정한수" 떠놓고… 1 바람의종 2008.04.01 13698
2610 ‘당신의 무관심이 …’ 바람의종 2008.04.02 6651
2609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469
2608 맥문동 바람의종 2008.04.02 6543
» 무너미·목넘이 바람의종 2008.04.03 6959
2606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779
2605 내 탓이오 바람의종 2008.04.03 7314
2604 거꿀반명제 바람의종 2008.04.04 6421
2603 바람 바람의종 2008.04.04 5976
2602 다르다와 틀리다 바람의종 2008.04.04 6448
2601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5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