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3 09:09

무너미·목넘이

조회 수 6777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너미·목넘이

황순원의 소설 <목넘이 마을의 개>는 한 마을에 흘러들어 온 신둥이(흰둥이)의 강인한 삶을 통하여 온갖 고난을 이겨내는 우리 겨레를 상징한 소설로 알려졌다. 소설 속의 ‘목 넘이 마을’은 사방 산으로 둘러싸여 어느 곳이든 ‘목’을 넘어야 갈 수 있는 마을이어서 붙은 이름이다. 이야기 배경이 평안도 어느 마을로 설정돼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느 곳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황순원이 평안도 대동 출생이니 그곳 어디쯤에 있는 땅이름일 가능성이 높다.

‘목 넘이 마을’처럼 ‘넘다’라는 말이 들어간 땅이름도 비교적 흔히 찾을 수 있다. 중세어에서 ‘넘다’는 ‘남다’와 함께 쓰였다. 두 말이 모두 ‘넘는다, 지나치다. 남다’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말이었다. 예를 들어 “백년이 하마 반이 남으니”라는 말은 “백년이 벌써 반이나 지나가니”라는 뜻이며, <석보상절>에서는 한자어 ‘과’(過)를 ‘넘다’로 풀이한 바 있다. 이는 중세어에서 ‘넘다’와 ‘남다’가 넘나들며 쓰였음을 뜻한다. 이 말이 차츰 분화하여 ‘남다’와 ‘넘다’가 전혀 다른 뜻의 말이 되었다.

그런데 땅이름에서는 ‘남다’의 의미를 갖는 것은 찾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넘다’의 경우는 ‘너미’라는 형태로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무너미’는 ‘둑이나 저수지에서 물이 넘어가는 곳’ 또는 ‘물 건너 마을’을 뜻한다. ‘목 넘이’의 ‘넘이’도 마찬가지다. ‘넘다’에 이름씨를 만드는 뒷가지 ‘이’가 붙어 땅이름으로 자연스럽게 쓰인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0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6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589
2688 생사여탈권 바람의종 2008.11.03 6615
2687 그리고 나서, 그리고는 바람의종 2008.09.07 6616
2686 은냇골 이야기 바람의종 2008.05.10 6618
2685 괴기라미 떡이라미 바람의종 2008.11.20 6620
2684 뗑깡 바람의종 2008.02.10 6620
2683 사날, 나달 바람의종 2009.08.02 6620
2682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25
2681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626
2680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630
2679 상사화 바람의종 2008.07.06 6634
2678 먹고 잪다 바람의종 2009.07.10 6634
2677 어거지, 억지 바람의종 2008.11.19 6635
2676 깜빠니야 바람의종 2008.06.27 6636
2675 어떻게든 바람의종 2008.10.13 6646
2674 사파리 바람의종 2009.06.30 6648
2673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649
2672 아니어라우! 바람의종 2008.08.04 6652
2671 카디건 바람의종 2009.02.18 6654
2670 모디리 바람의종 2009.03.27 6664
2669 ~로부터 바람의종 2008.11.21 6666
2668 깍두기 바람의종 2007.12.23 6668
2667 울돌목 / 노들강변 바람의종 2009.03.03 66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