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1 12:43

마라초

조회 수 625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라초

담배는 아메리카가 원산지로 16세기부터 유럽에서 재배되었다. 우리나라에는 17세기 초에 중국·일본을 통해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당시에는 담배를 ‘서초’(西草), ‘남초’(南草), ‘왜초’(倭草)라 불렀다.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이라는 말이 있는데, 담배가 전래된 시기를 고려하면 기껏해야 1600년대라 하겠다.

필터 담배가 나오기 전에는 곰방대나 장죽과 같은 담뱃대를 이용하거나 종이에 말아서 피웠다. ‘종이에 만 담배’를 ‘권연초·권연·지권연·궐련·궐련초·지궐련’이라 하는데, 이들 말은 일본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일본어로 담배를 ‘煙草’로 적는데, 우리 한자음으로 읽으면 ‘연초’이고, 일본어로 읽으면 ‘타바코’다. 또, ‘종이로 감은 것’을 지권(紙卷)이라 하므로, ‘종이로 만 담배’는 지권연초(紙卷煙草)가 된다. 일본어에서는 ‘연초’에서 ‘초’만 생략한 줄임말을 쓰지 않는다. 발음이 ‘타바’가 되기 때문이다. 반면 우리말에서는 ‘타바코’로 읽지 않고 ‘연초’로 읽으므로 ‘초’를 생략해서도 쓴다. ‘궐련’은 ‘권연’ 발음이 변한 것이다. 따라서 ‘권연, 지권연’은 우리말 방식의 줄임말이고, ‘궐련’ 등은 우리말로 바뀐 것이라 하겠다. 

북녘말 ‘마라초, 만담배’는 궐련을 뜻한다. ‘필터가 달린 담배’를 북녘에서는 ‘려과담배’라고 한다. 남녘에서는 마라초를 피는 사람이 거의 없지만 담뱃값이 계속 오르고 있어서 앞으로는 마라초 피는 이가 늘어날지도 모를 일이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2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74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763
290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448
289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36
288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436
287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435
286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434
285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432
284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432
283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431
28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430
281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430
280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430
279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425
278 지식생산, 동의함 風文 2022.07.10 1423
277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422
276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422
275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421
274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420
273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419
272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1415
271 혼성어 風文 2022.05.18 1415
270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414
269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4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