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1 12:41

서방과 사위

조회 수 812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서방과 사위

서방은 본디 ‘새 사람, 큰 사람’을 뜻하는 말로 본다. 흔히 아는, 글 읽는 방 또는 책방(書房·冊房)이 아니란 말이다. 정재도님은 ‘서’란 ‘사·소·솔·쇠·새’처럼 ‘ㅅ’ 계통 말로서 “새롭다, 크다”로, ‘방’은 “건설방(건달), 만무방(염치 없는 사람), 심방(만능 무당), 짐방(싸전 짐꾼), 창방(농악의 양반 광대)” 들의 ‘방’으로서 ‘房’이 아닌, ‘사람’을 가리키는 토박이말로 봤다.

성씨 뒤에 두어 사위·매제, 아랫 동서를 일컫거나 부르는 말로 쓰이고, 남편을 홀하게 일컬을 때도 쓰인다. 옛적에 책 읽는 선비보다 농투성이·장사꾼·사냥꾼·백정·광대·노비 … 들이 훨씬 많았고, 그들도 다 시집장가는 갔을 터인즉, 새 사람을 부르고 일컫는 말이 없을 리 없고보면, ‘서방’이 먼저고, 나중에 안다니들이 그럴싸한 문자(취음·書房·西房)를 끌어대어 퍼뜨렸을 법하다.

“서방맞다·서방하다·서방맞히다”는 시집가다·시집보내다·짝짓다는 말이다. 서방은 색시·각시와 맞서며, 서방질·계집질은 상스럽지만, 서방님이면 남편을 한층 높이는 말이 된다.

‘사위’는 예전엔 사회·사휘·싸회 …처럼 썼고, 사투리로는 ‘사오·사우’라고도 한다. 한자로는 서랑(壻郞) 여서(女壻) 질서(姪壻)의 ‘서’(壻)에 해당한다. 장인·장모는 사위를 ‘여보게!, ○ 서방!” 식으로 부르고, 글말로는 군(君)을 쓰며, 장인 사위 사이를 ‘옹서간’(翁壻間)이라 한다. 표준화법에서 사위는 아내의 어버이를 장인어른·장모님, 때로는 아버님·어머님으로 부를 수 있다고 봤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9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4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384
1896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54
1895 갯벌, 개펄 바람의종 2008.10.17 8355
1894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359
1893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361
1892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363
1891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70
1890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71
1889 마개와 뚜껑 바람의종 2008.02.04 8379
1888 조사됐다 바람의종 2010.04.25 8389
1887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395
1886 빈소와 분향소 바람의종 2010.09.08 8404
1885 마누라 風磬 2006.11.26 8409
1884 안치다, 밭치다, 지게, 찌개 바람의종 2008.06.16 8409
1883 뽑다와 캐다 바람의종 2008.01.26 8410
1882 볼멘소리 바람의종 2010.09.03 8410
1881 본데없다 바람의종 2008.01.12 8412
1880 이같이, 이 같은 바람의종 2008.11.29 8414
1879 날래 가라우! 바람의종 2009.10.06 8415
1878 일본식 용어 - 가 바람의종 2008.03.01 8415
1877 ~는가 알아보다 바람의종 2009.09.27 8418
1876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419
1875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4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