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1 12:39

가야와 가라홀

조회 수 693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야와 가라홀

땅이름에는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바탕말들이 스며들어 있다. 그러나 꼴과 뜻이 바뀌어 고유명사로 쓰일 때는 그 말이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지 낯설 때도 많다. 옛나라 이름 가운데도 이런 것들이 많다. <삼국유사>의 ‘가야’ 쪽 기록도 마찬가지다.

‘수로왕’이나 ‘5가야’의 명칭은 모두 고유명사다. 이들 가야는 모두 ‘가라’ 또는 ‘가락’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 점에서 양주동이나 최남선은 ‘가야’의 어원을 ‘가람’과 관련지어 풀이한 바 있다. ‘가람’은 ‘강’을 뜻하는 옛말이다. 낙동강 하류의 여러 갈래마다 나라가 세워지고, 그 나라 이름이 ‘가라’ 또는 ‘가야’가 되었다는 뜻이다. 이에 반론을 제기하는 견해도 있다. ‘가람’이 낙동강에만 해당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그런데 이병선의 <한국고대지명연구>에서는 <고려사>의 “간성현(杆城縣·강원도 간성)은 본디 고구려 수성현(守城縣)이었는데, 달리 말하기를 가라홀(加羅忽)이었다”는 기록을 바탕으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 부분이 보인다. 이를 따르면 ‘가라’는 중세어 ‘거록ㅎ.다’의 어원인 ‘거르다’ 또는 ‘기르다’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하는데, 이 말은 오늘날 ‘길다’, ‘크다’의 뜻이다.

‘가라’를 ‘길다’와 연관지어 해석하고자 하는 논리를 모두 받아들이기는 어려우나, 적어도 ‘가라’가 낙동강 유역의 나라 이름만으로 쓰이지 않았음은 분명하다. 이를 고려한다면 ‘가야’에 들어 있는 ‘가르다’ 또는 ‘길다’와 같은 말들은 땅이름을 형성하는 기초 어휘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221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855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3842
286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469
285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390
284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460
283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817
282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029
281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837
280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554
279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015
278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6947
277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659
276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640
275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053
274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590
273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244
»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6938
271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384
270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320
269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9920
268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281
267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268
266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05
265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69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