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1 12:39

가야와 가라홀

조회 수 739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야와 가라홀

땅이름에는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바탕말들이 스며들어 있다. 그러나 꼴과 뜻이 바뀌어 고유명사로 쓰일 때는 그 말이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지 낯설 때도 많다. 옛나라 이름 가운데도 이런 것들이 많다. <삼국유사>의 ‘가야’ 쪽 기록도 마찬가지다.

‘수로왕’이나 ‘5가야’의 명칭은 모두 고유명사다. 이들 가야는 모두 ‘가라’ 또는 ‘가락’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 점에서 양주동이나 최남선은 ‘가야’의 어원을 ‘가람’과 관련지어 풀이한 바 있다. ‘가람’은 ‘강’을 뜻하는 옛말이다. 낙동강 하류의 여러 갈래마다 나라가 세워지고, 그 나라 이름이 ‘가라’ 또는 ‘가야’가 되었다는 뜻이다. 이에 반론을 제기하는 견해도 있다. ‘가람’이 낙동강에만 해당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그런데 이병선의 <한국고대지명연구>에서는 <고려사>의 “간성현(杆城縣·강원도 간성)은 본디 고구려 수성현(守城縣)이었는데, 달리 말하기를 가라홀(加羅忽)이었다”는 기록을 바탕으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 부분이 보인다. 이를 따르면 ‘가라’는 중세어 ‘거록ㅎ.다’의 어원인 ‘거르다’ 또는 ‘기르다’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하는데, 이 말은 오늘날 ‘길다’, ‘크다’의 뜻이다.

‘가라’를 ‘길다’와 연관지어 해석하고자 하는 논리를 모두 받아들이기는 어려우나, 적어도 ‘가라’가 낙동강 유역의 나라 이름만으로 쓰이지 않았음은 분명하다. 이를 고려한다면 ‘가야’에 들어 있는 ‘가르다’ 또는 ‘길다’와 같은 말들은 땅이름을 형성하는 기초 어휘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4777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6100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3Apr
    by 바람의종
    2008/04/23 by 바람의종
    Views 10047 

    가히·논개②

  5. No Image 07Feb
    by 바람의종
    2010/02/07 by 바람의종
    Views 8672 

    가파르다의 활용

  6. No Image 25May
    by 바람의종
    2007/05/25 by 바람의종
    Views 11748 

    가책

  7. No Image 28Apr
    by 바람의종
    2007/04/28 by 바람의종
    Views 10789 

    가차없다

  8. No Image 18Dec
    by 風文
    2023/12/18 by 風文
    Views 1698 

    가짜와 인공

  9. No Image 26Jun
    by 風文
    2022/06/26 by 風文
    Views 1734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10. No Image 24May
    by 바람의종
    2009/05/24 by 바람의종
    Views 7054 

    가젠하민

  11. No Image 09Apr
    by 바람의종
    2009/04/09 by 바람의종
    Views 6742 

    가입시더

  12. No Image 17Aug
    by 바람의종
    2012/08/17 by 바람의종
    Views 9269 

    가이없는 은혜

  13. No Image 28Dec
    by 바람의종
    2007/12/28 by 바람의종
    Views 7538 

    가을하다

  14. No Image 06Sep
    by 바람의종
    2008/09/06 by 바람의종
    Views 7916 

    가외·유월이

  15. No Image 13Jan
    by 바람의종
    2008/01/13 by 바람의종
    Views 7078 

    가와 끝

  16. No Image 24Nov
    by 바람의종
    2009/11/24 by 바람의종
    Views 17311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17. No Image 29Jun
    by 바람의종
    2009/06/29 by 바람의종
    Views 11824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18. No Image 18Mar
    by 바람의종
    2009/03/18 by 바람의종
    Views 11482 

    가열차다, 야멸차다

  19. No Image 01Apr
    by 바람의종
    2008/04/01 by 바람의종
    Views 7390 

    가야와 가라홀

  20. No Image 15Mar
    by 바람의종
    2008/03/15 by 바람의종
    Views 7806 

    가시집

  21. No Image 17Dec
    by 바람의종
    2007/12/17 by 바람의종
    Views 7853 

    가시버시

  22. No Image 26Apr
    by 바람의종
    2010/04/26 by 바람의종
    Views 10182 

    가시버시

  23. No Image 01Apr
    by 바람의종
    2010/04/01 by 바람의종
    Views 13446 

    가시 돋힌 설전

  24. No Image 29Jun
    by 바람의종
    2009/06/29 by 바람의종
    Views 6469 

    가마우지

  25. No Image 11Dec
    by 바람의종
    2008/12/11 by 바람의종
    Views 9212 

    가마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