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30 04:28

무궁화

조회 수 5807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궁화

지난 7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높이 7.5미터나 나가는 무궁화나무가 강원도 홍천에서 발견되었다. 국립산림과학원 쪽은 나무 나이를 100년 정도로 추정한다.

‘무궁화’는 ‘목근화’(木槿花)라고도 한다. 한자 어휘집〈역어유해〉(1690)에는 ‘木槿花 무긴화/뭏긴화 ○ 무궁화’로 올렸는데, 목근화의 당시 중국음 [무긴화](현재는 무진화)와 비슷한 소리인 ‘무궁’(無窮)이란 한자를 만나면서 ‘무궁화’로 명명된 것으로 본다. 먼저 핀 꽃이 떨어지면 새로운 꽃이 이어 100일쯤이나 거듭 피고 지는 성질이 있어 붙은 이름이다. 고조선 때도 이 땅에 무궁화나무가 무척 많았다는 역사 기록이 있는 것을 보면 오랜 옛적부터 우리나라에 자생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영원무궁이라는 겨레의 바람과도 잘 맞는 까닭에 국기가 제정되면서 국기봉을 무궁화 꽃봉오리로 정했고, 나라꽃이 됐으며, 정부의 표장으로도 삼는다.

기차 이름에서 새마을·무궁화·통일호란 등급이 거꾸로 된 게 아닐까 생각했는데, 고속철도가 나오면서 통일호는 사라졌다. 좋은 호텔이 무궁화 개수로 표시되고, 그 꽃이 장교 계급장 바탕으로 쓰이는 등 그 상징성이 곳곳에 살아 있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5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9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40
2072 제수용품 / 꼬지, 꽂이, 꼬치 바람의종 2010.02.12 11372
2071 복지리 바람의종 2010.02.12 7473
2070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240
2069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2.12 8410
2068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27
2067 치르다·치루다 바람의종 2010.02.12 13075
2066 꽁수, 꼼수, 뽀록나다 바람의종 2010.02.09 9728
2065 학을 떼다, 염병, 지랄 바람의종 2010.02.09 19041
2064 관형사 바람의종 2010.02.09 10459
2063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41
2062 파고다 바람의종 2010.02.09 11662
2061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64
2060 박스오피스 바람의종 2010.02.08 8566
2059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01
2058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156
2057 북녘의 속담 바람의종 2010.02.08 8432
2056 백지 와 그라노! 바람의종 2010.02.08 7177
2055 여운을 남기다 바람의종 2010.02.07 10562
2054 새의 꼬리 바람의종 2010.02.07 8434
2053 시체,사체,송장,주검,시신 바람의종 2010.02.07 11269
2052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05
2051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7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