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30 04:28

무궁화

조회 수 594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궁화

지난 7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높이 7.5미터나 나가는 무궁화나무가 강원도 홍천에서 발견되었다. 국립산림과학원 쪽은 나무 나이를 100년 정도로 추정한다.

‘무궁화’는 ‘목근화’(木槿花)라고도 한다. 한자 어휘집〈역어유해〉(1690)에는 ‘木槿花 무긴화/뭏긴화 ○ 무궁화’로 올렸는데, 목근화의 당시 중국음 [무긴화](현재는 무진화)와 비슷한 소리인 ‘무궁’(無窮)이란 한자를 만나면서 ‘무궁화’로 명명된 것으로 본다. 먼저 핀 꽃이 떨어지면 새로운 꽃이 이어 100일쯤이나 거듭 피고 지는 성질이 있어 붙은 이름이다. 고조선 때도 이 땅에 무궁화나무가 무척 많았다는 역사 기록이 있는 것을 보면 오랜 옛적부터 우리나라에 자생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영원무궁이라는 겨레의 바람과도 잘 맞는 까닭에 국기가 제정되면서 국기봉을 무궁화 꽃봉오리로 정했고, 나라꽃이 됐으며, 정부의 표장으로도 삼는다.

기차 이름에서 새마을·무궁화·통일호란 등급이 거꾸로 된 게 아닐까 생각했는데, 고속철도가 나오면서 통일호는 사라졌다. 좋은 호텔이 무궁화 개수로 표시되고, 그 꽃이 장교 계급장 바탕으로 쓰이는 등 그 상징성이 곳곳에 살아 있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43
1390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38
1389 시도하다 바람의종 2012.07.23 8587
1388 시들음병/시듦병 바람의종 2011.11.20 11139
1387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86
1386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389
1385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300
1384 시말서, 회람 바람의종 2011.11.25 10661
1383 시보리 바람의종 2012.09.14 11968
1382 시세 조종 바람의종 2008.04.15 5472
1381 시옷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05.09 9467
1380 시울 바람의종 2010.02.15 6885
1379 시체,사체,송장,주검,시신 바람의종 2010.02.07 11312
1378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54
1377 시치미를 떼다 1 바람의종 2010.11.16 15469
1376 시치미를 떼다 바람의종 2008.01.18 10696
1375 시해 / 살해 바람의종 2012.03.27 10143
1374 시험, 실험 바람의종 2010.08.14 10839
1373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443
1372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42
1371 신문과 심문 바람의종 2010.08.14 11556
1370 신물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18 17478
1369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