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30 04:28

무궁화

조회 수 593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궁화

지난 7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높이 7.5미터나 나가는 무궁화나무가 강원도 홍천에서 발견되었다. 국립산림과학원 쪽은 나무 나이를 100년 정도로 추정한다.

‘무궁화’는 ‘목근화’(木槿花)라고도 한다. 한자 어휘집〈역어유해〉(1690)에는 ‘木槿花 무긴화/뭏긴화 ○ 무궁화’로 올렸는데, 목근화의 당시 중국음 [무긴화](현재는 무진화)와 비슷한 소리인 ‘무궁’(無窮)이란 한자를 만나면서 ‘무궁화’로 명명된 것으로 본다. 먼저 핀 꽃이 떨어지면 새로운 꽃이 이어 100일쯤이나 거듭 피고 지는 성질이 있어 붙은 이름이다. 고조선 때도 이 땅에 무궁화나무가 무척 많았다는 역사 기록이 있는 것을 보면 오랜 옛적부터 우리나라에 자생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영원무궁이라는 겨레의 바람과도 잘 맞는 까닭에 국기가 제정되면서 국기봉을 무궁화 꽃봉오리로 정했고, 나라꽃이 됐으며, 정부의 표장으로도 삼는다.

기차 이름에서 새마을·무궁화·통일호란 등급이 거꾸로 된 게 아닐까 생각했는데, 고속철도가 나오면서 통일호는 사라졌다. 좋은 호텔이 무궁화 개수로 표시되고, 그 꽃이 장교 계급장 바탕으로 쓰이는 등 그 상징성이 곳곳에 살아 있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7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35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260
1390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502
1389 구별과 구분 바람의종 2010.11.02 9507
1388 미주알고주알 밑두리콧두리 바람의종 2010.01.22 9510
1387 라면 바람의종 2010.05.10 9512
1386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518
1385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19
1384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20
1383 집중호우 -> 장대비 바람의종 2012.06.22 9520
1382 막역/막연, 모사/묘사 바람의종 2008.06.13 9525
1381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28
1380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29
1379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33
1378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39
1377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39
1376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39
1375 지붕 바람의종 2010.05.31 9544
1374 일터 말 바람의종 2008.04.08 9545
1373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546
1372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46
1371 ~답다, ~스럽다 바람의종 2010.11.21 9550
1370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51
1369 ‘하므로’와 ‘함으로’ 바람의종 2009.12.04 95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