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30 04:23

방조하다

조회 수 7351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방조하다

“선장의 사업을 방조하며 배의 항행 보장을 맡아 수행하는 기술자격을 가진 일군.”(조선말대사전)

여기서 설명하는 사람은 누구일까? ‘항해사’다. “항해사가 선장의 사업을 방조한다”고 하면, ‘선장이 나쁜 일을 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방조(幇助)는 ‘도울 방’, ‘도울 조’이므로 ‘돕는다’는 뜻이지만, 남녘에서는 ‘나쁜 일을 돕는 상황’에 ‘방조하다’를 쓴다. 북녘에서는 부정적인 뜻 없이 한자 뜻 그대로 쓴다.

‘방조하다’에서 차이가 생긴 것은 남녘의 쓰임 변화 때문인데, 그 시기는 1950년대로 보인다. 50년에 나온 <큰사전>(한글학회) 풀이와 61년에 나온 <국어대사전>(민중서관)의 풀이에 차이가 난다. <국어대사전>에서는 ‘방조’를 ‘어떠한 일을 거들어서 도와줌. 흔히 나쁜 일의 뒤를 돕는 경우에 씀’이라고 풀이하였다. 이후 남녘의 각종 국어사전에서 ‘나쁜 일과 관련이 있다’는 풀이는 하지 않았지만, 그 예문에서 부정적인 쓰임을 보여주고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한걸음 더 나아가 긍정적인 쓰임이 없다고 보았다.

‘방조하다’가 부정적인 일에 쓰이게 된 연유는 무엇일까? 법률 영향으로 보인다. ‘남의 범죄 수행에 편의를 주는 모든 행위’(형법)란 뜻이 국어사전 풀이에 적용됨으로써 널리 쓰이게 되고, 낱말 쓰임이 바뀌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방조’(傍助)는 ‘곁에서 도와줌’의 뜻이다. 북녘에서는 ‘방조’(傍助)를 쓰지 않는데, ‘방조’(幇助)가 본디 뜻을 유지하면서 이를 대신하는 것 같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6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5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34
290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744
289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42
288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564
287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612
286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271
285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426
284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917
283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611
282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142
281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250
280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765
279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846
278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165
277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694
276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344
275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133
274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558
273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561
272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10051
271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344
270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344
269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