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9 12:04

도라산역

조회 수 5772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도라산역

도라산은 경기도 장단군에 있는 산이다. 장단군은 고구려 때 장천성현(長淺城縣)이었고, 조선 예종조에 이르러 도호부로 승격되었다. 도라산에는 고려 태조의 딸인 낙랑공주와 마지막 신라 임금 경순왕에 얽힌 설화가 있다. 나라를 잃은 경순왕이 늘 도라산에 올라가 경주 쪽을 바라보며 눈물짓는 모습을 보고 낙랑공주가 영수암이라는 암자를 짓고 그를 곁에서 지켰다는 이야기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보면, 도라산은 임진 남쪽 25리에 있는 산이며, 북쪽 천수산과 동쪽 파주 대산을 잇는 봉수가 있었다고 한다. 임진을 중심으로 동으로 화장산, 서로 오관산, 남으로 도라산, 북으로 망해산이 둘렀으며, 그 산세는 둥그렇고 원만하게 생겼다고 기록한다. 둥그스럼한 산에 ‘도라’라는 말이 붙은 사례는 함경남도 단천의 ‘도라화산’도 있다.

‘도라’는 ‘돌다’에서 나온 말이다. 이 말과 비슷한 형태로는 ‘두루’, ‘두리’가 있다. 지리산의 다른 이름으로 ‘두류산’이 있으며, 단천의 ‘도라화산’이 ‘두류산’이라 불리기도 한다. ‘두류’의 이형태인 ‘두로’와 ‘두륜’도 산이름으로 널리 쓰인다. 이는 ‘돌다’와 ‘둥글다’가 관련이 깊은 까닭인데, 동사 ‘두르다’나 형용사 ‘두렷하다’도 둥근 모습과 관련이 있다. ‘도라’와 ‘두루’는 둥글고 원만한 모습의 땅이름으로 널리 쓰인 말들이다.

남북 철도 왕래가 시도되면서 경의선과 도라산역이 자주 입에 오르내린다. 남북 열차의 도라산역 통과는 겨레의 둥글고 원만한 통일꿈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남을 것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64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3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191
1038 독립과 해방 바람의종 2009.03.16 6991
1037 도탄 바람의종 2007.06.27 5554
1036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221
1035 도요새 바람의종 2009.08.29 6315
1034 도시이름 바람의종 2011.11.14 13343
1033 도사리 바람의종 2010.06.20 8856
1032 도미진 이야기 바람의종 2008.07.16 7090
1031 도무지 風磬 2006.11.06 10211
1030 도매급으로 넘기다 바람의종 2010.04.24 14065
1029 도리장이·물자이 바람의종 2008.06.07 7440
1028 도로아미타불 바람의종 2008.02.05 8124
1027 도레미파솔라시 바람의종 2010.01.27 8611
1026 도량 바람의종 2007.06.27 6936
1025 도락 바람의종 2007.06.26 7466
» 도라산역 바람의종 2008.03.29 5772
1023 도내와 섬안 바람의종 2008.03.07 6422
1022 도꼬리 바람의종 2008.02.05 13794
1021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437
1020 도구 바람의종 2007.06.26 5830
1019 덮혔다, 찝찝하다 바람의종 2008.10.31 12158
1018 덩쿨/넝쿨, 쇠고기/소고기 바람의종 2008.08.28 8615
1017 덩어쇠 바람의종 2009.03.03 61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