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9 12:04

짝벗 일컫기

조회 수 6997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짝벗 일컫기

다른 언어에서도 짝벗(배필) 사이에서 부르는 안정되고 특별한 말은 드물다. 방향 정도나 애칭처럼 쓰이는 말뿐이다.(다링·디어·하니/영어, 아이건·롱롱/중국, 오마에·아나타/일본 …)

본디 부르는 말이 없는 게 자연스럽다고 할지라도, 서로 불러야 할 필요는 많다. 그 대안이 ‘애칭’이다. 실제 애칭을 만들어 쓰는 이도 적잖은 줄 안다. 우선은 자기들끼리 써서 편하게 통하면 된다. 나아가 숱하게 쓰긴 하지만, ‘여보’가 ‘여보시오’를 줄인 말이어서 재미 없다면 다른 말을 찾아 볼 수도 있다. “저(나) 좀 보아요”를 줄인 ‘저보’나 ‘나보’가 더 말맛이 난다면 ‘여보’를 제치고 애용될 수도 있을 터이다. 이쪽은 짝벗 사이 거리만큼 새말 깃발을 꽂을 여지가 많은 셈이다.

부르는 말이 안정되지 않은 만큼 짝벗을 일컫는 말도 다양하다. 남편이 아내를 제삼자 앞에서 “집사람·안사람·내자·마누라·아내·처 …”들로 일컫는다. 어버이나 동격 이상의 어른 앞에서는 ‘어미/에미·어멈, 그이, 그사람, ○○씨 …’들로 듣는이의 격에 따라 일컬음이 달라진다. 아내는 남편을 ‘바깥사람, 바깥양반, 밭사람, 그이 …’로 이른다. 어른 앞에서 ‘아비·애비/아범, ○ 서방 …’들을 써 왔고, 밖에서는 ‘우리 신랑, 저희 남편, 그이, 그사람, ○○씨 …’ 등 듣는이의 격에 맞춘 일컬음이 있다.

이 밖에 “철수야, 어머니는 어디 계시느냐” “자네 오라버니도 올 때가 됐네”처럼 듣는 상대 기준의 호칭이나 걸림말을 받아 쓰는 방식이 제일 흔하고 편하며 무난한 것으로 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72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20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205
3172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538
3171 가랭이 / 가랑이 바람의종 2010.08.05 16566
3170 가르치다, 가리키다 바람의종 2008.10.01 6748
3169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7014
3168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60
3167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301
3166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315
3165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435
3164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9985
3163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482
3162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036
3161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292
3160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646
3159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097
3158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759
3157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715
3156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119
3155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097
3154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589
3153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891
3152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284
3151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1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