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9 12:04

짝벗 일컫기

조회 수 6994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짝벗 일컫기

다른 언어에서도 짝벗(배필) 사이에서 부르는 안정되고 특별한 말은 드물다. 방향 정도나 애칭처럼 쓰이는 말뿐이다.(다링·디어·하니/영어, 아이건·롱롱/중국, 오마에·아나타/일본 …)

본디 부르는 말이 없는 게 자연스럽다고 할지라도, 서로 불러야 할 필요는 많다. 그 대안이 ‘애칭’이다. 실제 애칭을 만들어 쓰는 이도 적잖은 줄 안다. 우선은 자기들끼리 써서 편하게 통하면 된다. 나아가 숱하게 쓰긴 하지만, ‘여보’가 ‘여보시오’를 줄인 말이어서 재미 없다면 다른 말을 찾아 볼 수도 있다. “저(나) 좀 보아요”를 줄인 ‘저보’나 ‘나보’가 더 말맛이 난다면 ‘여보’를 제치고 애용될 수도 있을 터이다. 이쪽은 짝벗 사이 거리만큼 새말 깃발을 꽂을 여지가 많은 셈이다.

부르는 말이 안정되지 않은 만큼 짝벗을 일컫는 말도 다양하다. 남편이 아내를 제삼자 앞에서 “집사람·안사람·내자·마누라·아내·처 …”들로 일컫는다. 어버이나 동격 이상의 어른 앞에서는 ‘어미/에미·어멈, 그이, 그사람, ○○씨 …’들로 듣는이의 격에 따라 일컬음이 달라진다. 아내는 남편을 ‘바깥사람, 바깥양반, 밭사람, 그이 …’로 이른다. 어른 앞에서 ‘아비·애비/아범, ○ 서방 …’들을 써 왔고, 밖에서는 ‘우리 신랑, 저희 남편, 그이, 그사람, ○○씨 …’ 등 듣는이의 격에 맞춘 일컬음이 있다.

이 밖에 “철수야, 어머니는 어디 계시느냐” “자네 오라버니도 올 때가 됐네”처럼 듣는 상대 기준의 호칭이나 걸림말을 받아 쓰는 방식이 제일 흔하고 편하며 무난한 것으로 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30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756
3172 외국어 선택, 다언어 사회 風文 2022.05.16 1093
317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내일을 향해 모험하라 風文 2022.05.12 1090
3170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314
3169 영어의 힘 風文 2022.05.12 1133
3168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211
3167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369
3166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401
3165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132
3164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174
3163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252
3162 외국어 차용 風文 2022.05.06 1143
3161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310
3160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199
3159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風文 2022.02.24 1154
315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경영하지 않는 경영자들 관리자 2022.02.13 1038
3157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279
3156 역사와 욕망 風文 2022.02.11 1185
3155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329
315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자네 복싱 좋아하나? 風文 2022.02.10 1071
3153 받아쓰기 없기 風文 2022.02.10 2303
3152 권력의 용어 風文 2022.02.10 1085
3151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2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