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9 11:58

자주꽃방망이

조회 수 7935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주꽃방망이

방망이는 치거나 두드리는 데 쓰는 물건이어서 별로 좋은 느낌이 들지 않는다. 그러나 꽃방망이라고 하면 느낌이 확연히 달라진다. 예전에 아이들이 진달래, 싸리꽃 꽃가지를 여럿 꺾어 긴 막대기에 둥글게 묶어서 놀던 것을 꽃방망이라고 했는데, 어르신들이나 아는 추억속 놀잇감이다. 40대의 갤러그, 30대의 테트리스, 20대의 스타크래프트, 10대의 닌텐도 …. 50년 안쪽 사이에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확연히 바뀌었음을 실감한다.
 




‘자주꽃방망이’는 방망이 같이 쭉쭉 뻗은 단단한 줄기에 자주보라 꽃이 층층이 달려 있어 붙은 이름이다. 꽃이 활짝 피었을 때는 그야말로 꽃으로 만든 아름다운 방망이다. 백두산에서 피는 하얀 ‘흰자주꽃방망이’는 희면서 자줏빛이라니 모순된 이름이다. 그냥 ‘흰꽃방망이’로 부르는 것이 좋겠다.

화관이나 꽃방망이 등 자연 장식이야말로 최고의 꾸밈이지만, 꽃을 좋아하는 사람은 꽃을 따서 꽂아두고, 꽃을 사랑하는 사람은 그냥 지켜본다고 한다. 우리에겐 아름다운 이름 ‘꽃방망이’지만, 먹을 힘도 없는 아프리카 어린이들의 이야기를 쓴 책 ‘꽃으로도 때리지 마라’(김혜자)가 생각나는 건 왜일까.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6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08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007
3172 연륜 바람의종 2007.08.03 8510
3171 연미복 바람의종 2007.08.03 8007
3170 영감 바람의종 2007.08.07 7746
3169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583
3168 영남, 영동, 영서 바람의종 2007.08.09 11315
3167 영부인 바람의종 2007.08.09 7866
3166 오장육부 바람의종 2007.08.10 9682
3165 와중 바람의종 2007.08.10 6906
3164 요지경 바람의종 2007.08.11 10902
3163 용수철 바람의종 2007.08.11 7012
3162 은행 바람의종 2007.08.13 6811
3161 자문 바람의종 2007.08.13 7339
3160 자정 바람의종 2007.08.14 7711
3159 장본인 바람의종 2007.08.14 8536
3158 장안 바람의종 2007.08.15 9228
3157 재야 바람의종 2007.08.15 7707
3156 적자 바람의종 2007.08.16 13244
3155 전하 바람의종 2007.08.16 6930
3154 점고 바람의종 2007.08.17 7343
3153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273
3152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737
3151 조장 바람의종 2007.08.18 71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