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8 06:02

바쁘다

조회 수 5700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바쁘다

“배우가 먼저 웃으면서 관중에게 웃음을 강요하면 웃기도 바쁘거니와 웃는 경우에도 그것은 면구한 웃음으로밖에 될수 없다.”(조선말대사전)

‘바쁘다’는 남북이 같이 쓰는 말로 ‘겨를이 없다’ 혹은 ‘매우 급하다’, ‘어떤 일이 끝나자마자 곧’의 뜻이다. 보기에서 ‘바쁘다’는 ‘웃을 겨를이 없거나 웃기에는 급한 상황’이 아니라, ‘웃기에 그 상황이 매우 딱하다’는 뜻이다. 북녘에서는 ‘바쁘다’를 ‘힘에 부치거나 참기가 어렵다’는 뜻과 ‘매우 딱하다’란 뜻으로도 쓴다. “우리 아이는 공부를 안 해서 대학 가기 바쁩니다”라고 하면, ‘대학 가기 어렵다’는 뜻이다. “사흘 동안에는 좀 바쁘겠는데”라고 하면, ‘사흘 동안에는 좀 어렵다’는 뜻이다.

‘겨를이 없다’와 ‘어렵다’는 의미적 관련이 있다. ‘겨를’은 ‘시간적인 여유’를 뜻하고, ‘힘에 부치거나 참기가 어렵다’는 ‘능력의 여유나 인내심의 여유가 없음’을 뜻하기 때문이다. 두 가지 뜻은 ‘여유가 없음’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어떤 일을 며칠 내에 하기 바쁘다’라고 하면 ‘며칠 내에 할 시간 여유나 능력의 여유가 없다’는 뜻도 되고, 그래서 ‘하기 어렵다’는 뜻도 된다. ‘대학 가기 바쁜 것’은 ‘대학 갈 시간의 여유가 없는 것’은 아니고 ‘대학 갈 실력의 여유가 없는 것’이다. ‘바쁘다’는 ‘여유가 없다’는 기본적인 뜻을 지니고, ‘-기(가) 바쁘게’의 꼴로 쓰여서 ‘곧’의 뜻을 나타내며, 북녘말에서 ‘매우 딱하다’의 뜻을 가진다고 하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1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66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571
3172 연륜 바람의종 2007.08.03 8499
3171 연미복 바람의종 2007.08.03 8005
3170 영감 바람의종 2007.08.07 7725
3169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571
3168 영남, 영동, 영서 바람의종 2007.08.09 11302
3167 영부인 바람의종 2007.08.09 7861
3166 오장육부 바람의종 2007.08.10 9681
3165 와중 바람의종 2007.08.10 6897
3164 요지경 바람의종 2007.08.11 10894
3163 용수철 바람의종 2007.08.11 6996
3162 은행 바람의종 2007.08.13 6799
3161 자문 바람의종 2007.08.13 7315
3160 자정 바람의종 2007.08.14 7694
3159 장본인 바람의종 2007.08.14 8529
3158 장안 바람의종 2007.08.15 9211
3157 재야 바람의종 2007.08.15 7697
3156 적자 바람의종 2007.08.16 13230
3155 전하 바람의종 2007.08.16 6921
3154 점고 바람의종 2007.08.17 7328
3153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262
3152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728
3151 조장 바람의종 2007.08.18 71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