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8 05:59

짝벗 사이

조회 수 7673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짝벗 사이

“남편과 아내 사이는 서로 짝벗이 되어서 공경말·삼가말을 쓰지 않는다. 소곤소곤 반쯤말로 하므로 서로 부름말이 없다.”(려증동·가정언어)

“여보·여봐요·○○씨(신혼), 여보·○○ 아버지/○○ 어머니, ○○ 아빠/○○ 엄마(자녀 둔 뒤), 여보·영감/임자·○○ 할아버지/○○ 할머니, ○○ 아버지/○○ 어머니(장노년)”(국어연구원 화법표준화자문위·1992)

예부터 짝벗(배필) 사이에 그럴듯한 부름말이 없기는 하지만, 불러야 할 때가 많고 실제 쓰는 말도 숱한데, ‘여보’도 그 중 하나다.

“거기요·보소·보이소·봅시다·아요·아여·어요·어이·여기요·여보·여봐요·이보오·저기요·저보 ….” 대체로 이름을 모르는 불특정인을 가까이서 부를 때도 쓰는 말들이다.

화법표준화자문위에서는 부름말로 ‘여보’를 대표로 골랐고, 지칭어로 ‘당신·○○씨’(신혼) ‘영감/임자’(장노년)를 표준으로 삼았다.

려증동님은 ‘여보·당신’은 싸움판에서 쓰는 말이어서 적절하지 않다며, 부르고 일컫는 말로 ‘어요·이녘’(아내에게), ‘아요·자기’(남편에게)를 내세운다.

“거기·당신·이녘·임자·자기/재개·자네·영감·마누라·지·니 …”

부름말이 마땅찮으면 이런 말에 ‘아·야·요’ 같은 호격조사를 붙여 불러도 된다. 짝벗은 무람한 사이여서 그렇다.

적절하고 많이 쓰는 말을 표준으로 삼아 그 쓰기를 권할 수는 있을 터이다. 그러나 본디부터 명토박아 쓰지 않는 까닭에 다양해진 말을 ‘이거야!’라고 한둘만 내세우는 것은, 말을 가난하게 하는 폐단이 따른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21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8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532
2402 하더란대두 바람의종 2009.05.30 7374
2401 ~에 대한 바람의종 2008.03.11 7374
2400 너구리 바람의종 2008.12.07 7375
2399 그라모 어쩝니껴? 바람의종 2010.02.25 7375
2398 살처분 바람의종 2010.10.30 7377
2397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379
2396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380
2395 말소리의 높낮이 바람의종 2008.01.08 7382
2394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382
2393 로비 바람의종 2008.02.10 7382
2392 시남이 댕게라! 바람의종 2009.12.18 7384
2391 사이비 바람의종 2007.07.18 7384
2390 그녀 바람의종 2009.07.10 7386
2389 직통생 바람의종 2008.03.31 7390
2388 엄치미 좋아! 바람의종 2009.09.26 7394
2387 단골 바람의종 2010.05.18 7398
2386 속수무책 바람의종 2007.12.13 7398
2385 아비규환 바람의종 2007.12.14 7399
2384 설거지나 하세요. (게와 께) 바람의종 2008.04.20 7399
2383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400
2382 성은, 승은, 사약 바람의종 2008.11.18 7400
2381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4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