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8 05:59

짝벗 사이

조회 수 733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짝벗 사이

“남편과 아내 사이는 서로 짝벗이 되어서 공경말·삼가말을 쓰지 않는다. 소곤소곤 반쯤말로 하므로 서로 부름말이 없다.”(려증동·가정언어)

“여보·여봐요·○○씨(신혼), 여보·○○ 아버지/○○ 어머니, ○○ 아빠/○○ 엄마(자녀 둔 뒤), 여보·영감/임자·○○ 할아버지/○○ 할머니, ○○ 아버지/○○ 어머니(장노년)”(국어연구원 화법표준화자문위·1992)

예부터 짝벗(배필) 사이에 그럴듯한 부름말이 없기는 하지만, 불러야 할 때가 많고 실제 쓰는 말도 숱한데, ‘여보’도 그 중 하나다.

“거기요·보소·보이소·봅시다·아요·아여·어요·어이·여기요·여보·여봐요·이보오·저기요·저보 ….” 대체로 이름을 모르는 불특정인을 가까이서 부를 때도 쓰는 말들이다.

화법표준화자문위에서는 부름말로 ‘여보’를 대표로 골랐고, 지칭어로 ‘당신·○○씨’(신혼) ‘영감/임자’(장노년)를 표준으로 삼았다.

려증동님은 ‘여보·당신’은 싸움판에서 쓰는 말이어서 적절하지 않다며, 부르고 일컫는 말로 ‘어요·이녘’(아내에게), ‘아요·자기’(남편에게)를 내세운다.

“거기·당신·이녘·임자·자기/재개·자네·영감·마누라·지·니 …”

부름말이 마땅찮으면 이런 말에 ‘아·야·요’ 같은 호격조사를 붙여 불러도 된다. 짝벗은 무람한 사이여서 그렇다.

적절하고 많이 쓰는 말을 표준으로 삼아 그 쓰기를 권할 수는 있을 터이다. 그러나 본디부터 명토박아 쓰지 않는 까닭에 다양해진 말을 ‘이거야!’라고 한둘만 내세우는 것은, 말을 가난하게 하는 폐단이 따른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13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77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2865
2992 고객님? 바람의종 2009.05.26 5869
2991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650
2990 고국, 모국, 조국 바람의종 2012.02.01 10639
2989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815
2988 고닥, 고당, 곰만, 금상, 금매 file 바람의종 2010.03.05 10409
2987 고도쇠 바람의종 2009.08.03 6526
2986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20
2985 고래 file 바람의종 2010.01.08 7558
2984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7986
2983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735
2982 고맙습니다 / 김지석 바람의종 2007.05.22 12448
2981 고명딸 바람의종 2010.08.27 9976
2980 고명딸 風磬 2006.09.16 15395
2979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158
2978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260
2977 고바위, 만땅, 후까시, 엥꼬, 빠꾸, 오라이, 기스 바람의종 2008.12.06 16439
2976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290
2975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885
2974 고뿔 風磬 2006.09.16 15225
2973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151
2972 고수레 風磬 2006.09.18 20329
2971 고슬고슬, 가슬가슬 / 찰지다, 차지다 바람의종 2010.06.08 110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