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7 02:06

소태와 소도

조회 수 788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태와 소도

<삼국지> ‘위지 동이전’은 진(晉)의 진수가 우리 옛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마한과 관련된 기록에는 “나라마다 별도의 고을(읍)이 있어 이름하여 소도(蘇塗)라 했으며, 큰 나무를 세우고 큰 북을 매달아 신에게 제사 지냈다. 그 안으로 도망한 자는 모두 잡아가지 못하였다”는 기사가 있다. 민속학자들은 ‘솟대’의 어원이 이 ‘소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한다.

양주동은 <국사 고어휘고>에서 ‘솟대’가 ‘소도’에서 왔다는 견해는 한문 해석을 잘못한 것뿐만 아니라 ‘솟대’의 ‘솟다’와 ‘소도’의 음을 유추한 결과라고 짚었다. ‘소도’는 마한 각 고을의 별읍 명칭일 뿐 ‘나무를 세우고 북을 매단 것’과는 무관하다. 그는 ‘소도’의 ‘소’를 ‘수컷’의 ‘수’, ‘도’를 ‘터’로 보아 ‘수터’ 곧 ‘남성신을 제사하는 곳’으로 풀이한다. 민속학자들의 풀이보다는 훨씬 과학적이다.

그런데 ‘소도’와 유사한 땅이름은 아직도 남아 있다. 충주 소태면은 ‘소탱이골’이었다. 솔탱이골·소태양면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소나무가 많이 자라는 지역이다. 소태면 구룡리에서 원주 귀래면으로 넘어가는 고개가 ‘소탱이고개’이며, 그 아랫마을은 솔밭말 또는 송전(松田)이라 한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도 ‘소태현’이 나타나는데, 지금의 태안 지역을 가리킨다. 태안의 상징이 소나무이듯, 소태현과 소나무는 깊은 관계가 있었을 것이다.

솔잎혹파리에다 재선충 피해가 전국을 휩쓰는 지금 벌레가 들지 못하도록 ‘소도’를 만들어 소나무를 보호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15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6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663
1302 혈혈단신,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8.07.02 7774
1301 억지조어 바람의종 2011.11.11 7774
1300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773
1299 실내체육관의 주소지 바람의종 2009.11.19 7771
1298 문진 바람의종 2009.08.07 7770
1297 믿음 바람의종 2009.09.18 7768
1296 두루뭉수리 風磬 2006.11.16 7762
1295 꿰매다, 시치다 바람의종 2008.11.25 7762
1294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61
1293 돌림말 바람의종 2009.09.26 7759
1292 만큼 바람의종 2010.05.11 7757
1291 빈대떡 風磬 2006.12.23 7757
1290 즐겁다, 기쁘다 바람의종 2008.10.13 7756
1289 조앙가 file 바람의종 2009.09.23 7753
1288 '매우''아주''몹시' 바람의종 2008.05.01 7753
1287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51
1286 두사부일체 (일체/일절) 바람의종 2008.04.23 7751
1285 멘토링 바람의종 2010.03.04 7750
1284 영감 바람의종 2007.08.07 7746
1283 방울새 바람의종 2009.09.07 7745
1282 아나고 바람의종 2008.02.16 7741
1281 안 해, 안돼 바람의종 2009.08.06 77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