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7 02:06

소태와 소도

조회 수 7857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태와 소도

<삼국지> ‘위지 동이전’은 진(晉)의 진수가 우리 옛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마한과 관련된 기록에는 “나라마다 별도의 고을(읍)이 있어 이름하여 소도(蘇塗)라 했으며, 큰 나무를 세우고 큰 북을 매달아 신에게 제사 지냈다. 그 안으로 도망한 자는 모두 잡아가지 못하였다”는 기사가 있다. 민속학자들은 ‘솟대’의 어원이 이 ‘소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한다.

양주동은 <국사 고어휘고>에서 ‘솟대’가 ‘소도’에서 왔다는 견해는 한문 해석을 잘못한 것뿐만 아니라 ‘솟대’의 ‘솟다’와 ‘소도’의 음을 유추한 결과라고 짚었다. ‘소도’는 마한 각 고을의 별읍 명칭일 뿐 ‘나무를 세우고 북을 매단 것’과는 무관하다. 그는 ‘소도’의 ‘소’를 ‘수컷’의 ‘수’, ‘도’를 ‘터’로 보아 ‘수터’ 곧 ‘남성신을 제사하는 곳’으로 풀이한다. 민속학자들의 풀이보다는 훨씬 과학적이다.

그런데 ‘소도’와 유사한 땅이름은 아직도 남아 있다. 충주 소태면은 ‘소탱이골’이었다. 솔탱이골·소태양면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소나무가 많이 자라는 지역이다. 소태면 구룡리에서 원주 귀래면으로 넘어가는 고개가 ‘소탱이고개’이며, 그 아랫마을은 솔밭말 또는 송전(松田)이라 한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도 ‘소태현’이 나타나는데, 지금의 태안 지역을 가리킨다. 태안의 상징이 소나무이듯, 소태현과 소나무는 깊은 관계가 있었을 것이다.

솔잎혹파리에다 재선충 피해가 전국을 휩쓰는 지금 벌레가 들지 못하도록 ‘소도’를 만들어 소나무를 보호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6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1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047
290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629
289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05
288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451
287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523
286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031
285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221
284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874
283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569
282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072
281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056
280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694
279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721
278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093
277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615
276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275
275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006
274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466
273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381
272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9963
271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300
270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283
269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