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7 02:06

소태와 소도

조회 수 792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태와 소도

<삼국지> ‘위지 동이전’은 진(晉)의 진수가 우리 옛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마한과 관련된 기록에는 “나라마다 별도의 고을(읍)이 있어 이름하여 소도(蘇塗)라 했으며, 큰 나무를 세우고 큰 북을 매달아 신에게 제사 지냈다. 그 안으로 도망한 자는 모두 잡아가지 못하였다”는 기사가 있다. 민속학자들은 ‘솟대’의 어원이 이 ‘소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한다.

양주동은 <국사 고어휘고>에서 ‘솟대’가 ‘소도’에서 왔다는 견해는 한문 해석을 잘못한 것뿐만 아니라 ‘솟대’의 ‘솟다’와 ‘소도’의 음을 유추한 결과라고 짚었다. ‘소도’는 마한 각 고을의 별읍 명칭일 뿐 ‘나무를 세우고 북을 매단 것’과는 무관하다. 그는 ‘소도’의 ‘소’를 ‘수컷’의 ‘수’, ‘도’를 ‘터’로 보아 ‘수터’ 곧 ‘남성신을 제사하는 곳’으로 풀이한다. 민속학자들의 풀이보다는 훨씬 과학적이다.

그런데 ‘소도’와 유사한 땅이름은 아직도 남아 있다. 충주 소태면은 ‘소탱이골’이었다. 솔탱이골·소태양면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소나무가 많이 자라는 지역이다. 소태면 구룡리에서 원주 귀래면으로 넘어가는 고개가 ‘소탱이고개’이며, 그 아랫마을은 솔밭말 또는 송전(松田)이라 한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도 ‘소태현’이 나타나는데, 지금의 태안 지역을 가리킨다. 태안의 상징이 소나무이듯, 소태현과 소나무는 깊은 관계가 있었을 것이다.

솔잎혹파리에다 재선충 피해가 전국을 휩쓰는 지금 벌레가 들지 못하도록 ‘소도’를 만들어 소나무를 보호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4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5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93
1500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40
1499 세상은 아직… 바람의종 2010.09.29 7468
1498 세일, 리베이트 바람의종 2008.11.27 6782
1497 센티 바람의종 2011.05.01 13411
1496 셀프-서비스 바람의종 2009.06.09 5898
1495 소강상태에 빠지다 바람의종 2010.05.29 10189
1494 소고기,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9 7233
1493 소담하다, 소박하다 바람의종 2012.05.03 13848
1492 소라색 바람의종 2008.02.15 7490
1491 소라색, 곤색 바람의종 2009.06.16 8204
1490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380
1489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309
1488 소와리골 바람의종 2008.05.06 7149
1487 소정 바람의종 2007.07.24 6345
1486 소젖 바람의종 2008.01.22 6465
»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929
1484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205
1483 소행·애무 바람의종 2008.05.24 8918
1482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412
1481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風文 2022.06.08 1203
1480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381
1479 속수무책 바람의종 2007.12.13 73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