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7 02:06

소태와 소도

조회 수 794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태와 소도

<삼국지> ‘위지 동이전’은 진(晉)의 진수가 우리 옛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마한과 관련된 기록에는 “나라마다 별도의 고을(읍)이 있어 이름하여 소도(蘇塗)라 했으며, 큰 나무를 세우고 큰 북을 매달아 신에게 제사 지냈다. 그 안으로 도망한 자는 모두 잡아가지 못하였다”는 기사가 있다. 민속학자들은 ‘솟대’의 어원이 이 ‘소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한다.

양주동은 <국사 고어휘고>에서 ‘솟대’가 ‘소도’에서 왔다는 견해는 한문 해석을 잘못한 것뿐만 아니라 ‘솟대’의 ‘솟다’와 ‘소도’의 음을 유추한 결과라고 짚었다. ‘소도’는 마한 각 고을의 별읍 명칭일 뿐 ‘나무를 세우고 북을 매단 것’과는 무관하다. 그는 ‘소도’의 ‘소’를 ‘수컷’의 ‘수’, ‘도’를 ‘터’로 보아 ‘수터’ 곧 ‘남성신을 제사하는 곳’으로 풀이한다. 민속학자들의 풀이보다는 훨씬 과학적이다.

그런데 ‘소도’와 유사한 땅이름은 아직도 남아 있다. 충주 소태면은 ‘소탱이골’이었다. 솔탱이골·소태양면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소나무가 많이 자라는 지역이다. 소태면 구룡리에서 원주 귀래면으로 넘어가는 고개가 ‘소탱이고개’이며, 그 아랫마을은 솔밭말 또는 송전(松田)이라 한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도 ‘소태현’이 나타나는데, 지금의 태안 지역을 가리킨다. 태안의 상징이 소나무이듯, 소태현과 소나무는 깊은 관계가 있었을 것이다.

솔잎혹파리에다 재선충 피해가 전국을 휩쓰는 지금 벌레가 들지 못하도록 ‘소도’를 만들어 소나무를 보호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5926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7426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7Jan
    by 바람의종
    2008/01/17 by 바람의종
    Views 8802 

    손 없는 날

  5. No Image 30Jul
    by 바람의종
    2010/07/30 by 바람의종
    Views 9285 

    손 없는 날

  6. No Image 03Nov
    by 바람의종
    2010/11/03 by 바람의종
    Views 10463 

    속풀이

  7. No Image 26Sep
    by 바람의종
    2009/09/26 by 바람의종
    Views 11913 

    속앓이

  8. No Image 13Dec
    by 바람의종
    2007/12/13 by 바람의종
    Views 7364 

    속수무책

  9. No Image 12Feb
    by 바람의종
    2009/02/12 by 바람의종
    Views 9403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10. No Image 08Jun
    by 風文
    2022/06/08 by 風文
    Views 1294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11.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12. No Image 24May
    by 바람의종
    2008/05/24 by 바람의종
    Views 8937 

    소행·애무

  13. No Image 30Oct
    by 風文
    2021/10/30 by 風文
    Views 1280 

    소통과 삐딱함

  14. No Image 27Mar
    by 바람의종
    2008/03/27 by 바람의종
    Views 7946 

    소태와 소도

  15. No Image 22Jan
    by 바람의종
    2008/01/22 by 바람의종
    Views 6488 

    소젖

  16. No Image 24Jul
    by 바람의종
    2007/07/24 by 바람의종
    Views 6381 

    소정

  17. No Image 06May
    by 바람의종
    2008/05/06 by 바람의종
    Views 7165 

    소와리골

  18. No Image 08Jun
    by 바람의종
    2008/06/08 by 바람의종
    Views 7320 

    소양강·우수주

  19. No Image 01Nov
    by 바람의종
    2007/11/01 by 바람의종
    Views 9415 

    소설속 고장말

  20. No Image 16Jun
    by 바람의종
    2009/06/16 by 바람의종
    Views 8208 

    소라색, 곤색

  21. No Image 15Feb
    by 바람의종
    2008/02/15 by 바람의종
    Views 7515 

    소라색

  22. No Image 03May
    by 바람의종
    2012/05/03 by 바람의종
    Views 13859 

    소담하다, 소박하다

  23. No Image 19Nov
    by 바람의종
    2008/11/19 by 바람의종
    Views 7255 

    소고기, 쇠고기

  24. No Image 29May
    by 바람의종
    2010/05/29 by 바람의종
    Views 10204 

    소강상태에 빠지다

  25.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5911 

    셀프-서비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