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5 00:50

구미와 곶

조회 수 7272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구미와 곶

<표준국어대사전>에, ‘곶’은 ‘바다로 뻗어나온 모양을 한 곳’이라고 풀이돼 있다. 그렇다면 ‘곶’은 해안에만 있는 땅이름처럼 보이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갈곶·갈고지·돌곶·돌고지’ 등은 바닷가가 아닌 곳에서도 흔히 보이는데, 두루 ‘곶’이 들어 있다.

우리말에서 ‘곶’은 ‘구무[굼]’와 마찬가지로 ‘움푹 파인 곳’을 뜻하는 말로 쓰였다. 이는 바닷가뿐만 아니라 내륙에서 움푹 파여 배를 대기 편한 곳에 ‘곶’을 붙인 데서도 알 수 있다. ‘곶’은 ‘고시’(古尸), ‘고자’(古自), ‘고차’(古次), ‘홀차’(忽次) 등으로 쓰였다. 백제 때 전남 장성군은 ‘고시리’(古尸伊)였으며, 신라 때 경남 고성군은 ‘고자미동국’(古資彌東國), 경기 안산은 ‘고사야홀차’(古斯也忽次)였다. ‘홀차’가 ‘구’(口)로 바뀌기도 하는데, ‘고사야홀차’는 ‘장항구’(獐項口)로, ‘요은홀차’(要隱忽次)는 ‘양구’(楊口)로 바뀌었다.

‘곶’은 다른 꼴로 나타나기도 한다. ‘고지’와 ‘구지’는 ‘곶’에 ‘이’가 붙어 된 말이며, 첫소리를 된소리로 내면 ‘꾸지’가 된다. 여수 지역의 ‘송고지·숫구지·일중구지·문꾸지’ 등은 ‘곶’의 이형태가 붙은 땅이름이다. 여기선 ‘곶’ 대신 ‘구미’가 붙은 곳도 제법 발견된다. ‘망구미·온구미’의 ‘구미’도 ‘곶’의 이형태들이다. <난중일기>에 보이는 ‘군영구미·이진구미’ 등도 마찬가지다. 이 말은 ‘굽다’의 이름꼴인 ‘구비’가 ‘구지’에 이어져 생긴 꼴이다. 이 또한 ‘곶’이 ‘구무’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높여준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3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45
290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711
289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34
288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537
287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584
286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217
285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373
284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906
283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603
282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111
281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179
280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752
279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816
278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134
277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680
276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327
275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106
274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532
273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481
272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10015
271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325
270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327
269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