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4 19:36

쐐기풀

조회 수 670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쐐기풀

‘쐐기’는 풀, 벌레, 물건 이름으로 두루 쓰인다. ‘쐐기풀’은 주로 숲 가장자리에 많이 자라서 시골에서 자란 사람이면 흔히 따끔하게 스쳐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잎이 톱니 모양에다 포기 전체에 가시털이 나 있다. 가시에는 개미산(포름산)이 들어 있어 찔리면 쐐기한테 쏘인 것처럼 아프다. 그런데 독은 독을 이기는 법인지, 쐐기풀은 뱀독 해독제로도 쓰였다. ‘쐐기풀’은 모양과 감각이 두루 반영된 이름이다. ‘쐐기벌레’는 쐐기나방 애벌레로, 몸에 뾰족한 독침이 있어 따갑게 쏘기에 붙여진 이름일 터이다.

‘쐐기’는 물건을 고정시키거나 쪼갤 때 쓰는 쐐기(V)꼴 물건이다. 세계 글자 역사에서는 대체로 현존하는 최고의 문자로 기원전 4000년께 썼다는 메소포타미아의 쐐기문자를 든다. 진흙판에 글자를 새기기 때문에 쐐기같이 뾰족한 도구로, 진흙이 일어나지 않게 쐐기 모양으로 쓸 수밖에 없었는데, 당시 제일 훌륭한 신랑감은 의사도 판사도 아닌 ‘필경사’였다고 한다. 글자를 쓸 수 있는 사람이 지식과 권력의 최상층부인 시대도 있었는데, 최근 20년 사이 없어진 직업이 ‘필경사’와 ‘타자수’라는 얘기는 흥미롭다. ‘서예’는 말 그대로 미술 영역이 되었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9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40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295
268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674
267 영감 바람의종 2007.08.07 7846
266 연미복 바람의종 2007.08.03 8107
265 연륜 바람의종 2007.08.03 8584
264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395
263 양재기 바람의종 2007.08.02 11278
262 양반 바람의종 2007.08.01 7477
261 야합 바람의종 2007.08.01 7621
260 애로 바람의종 2007.07.31 6792
259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185
258 안양 바람의종 2007.07.30 7512
257 아성 바람의종 2007.07.30 8605
256 아녀자 바람의종 2007.07.29 9786
255 쌍벽 바람의종 2007.07.29 6349
254 슬하 바람의종 2007.07.28 7137
253 숙제 바람의종 2007.07.28 5131
252 숙맥 바람의종 2007.07.27 6656
251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66
250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바람의종 2007.07.24 22763
249 소정 바람의종 2007.07.24 6430
248 성곽 바람의종 2007.07.24 6443
247 섭씨 바람의종 2007.07.23 77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