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4 19:36

쐐기풀

조회 수 6594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쐐기풀

‘쐐기’는 풀, 벌레, 물건 이름으로 두루 쓰인다. ‘쐐기풀’은 주로 숲 가장자리에 많이 자라서 시골에서 자란 사람이면 흔히 따끔하게 스쳐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잎이 톱니 모양에다 포기 전체에 가시털이 나 있다. 가시에는 개미산(포름산)이 들어 있어 찔리면 쐐기한테 쏘인 것처럼 아프다. 그런데 독은 독을 이기는 법인지, 쐐기풀은 뱀독 해독제로도 쓰였다. ‘쐐기풀’은 모양과 감각이 두루 반영된 이름이다. ‘쐐기벌레’는 쐐기나방 애벌레로, 몸에 뾰족한 독침이 있어 따갑게 쏘기에 붙여진 이름일 터이다.

‘쐐기’는 물건을 고정시키거나 쪼갤 때 쓰는 쐐기(V)꼴 물건이다. 세계 글자 역사에서는 대체로 현존하는 최고의 문자로 기원전 4000년께 썼다는 메소포타미아의 쐐기문자를 든다. 진흙판에 글자를 새기기 때문에 쐐기같이 뾰족한 도구로, 진흙이 일어나지 않게 쐐기 모양으로 쓸 수밖에 없었는데, 당시 제일 훌륭한 신랑감은 의사도 판사도 아닌 ‘필경사’였다고 한다. 글자를 쓸 수 있는 사람이 지식과 권력의 최상층부인 시대도 있었는데, 최근 20년 사이 없어진 직업이 ‘필경사’와 ‘타자수’라는 얘기는 흥미롭다. ‘서예’는 말 그대로 미술 영역이 되었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47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04
2116 메가폰과 마이크 바람의종 2010.01.10 7910
2115 메다, 매다 바람의종 2008.10.14 7484
2114 메다와 지다 바람의종 2008.03.06 7292
2113 메뚜기 바람의종 2008.01.02 6563
2112 메리야스 바람의종 2010.01.06 9063
2111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222
2110 메우다, 채우다 바람의종 2009.09.22 13484
2109 멘토링 바람의종 2010.03.04 7752
2108 멘트 바람의종 2010.02.15 8481
2107 며느리밥풀 바람의종 2008.01.19 6029
2106 며늘아기, 며늘아가 바람의종 2010.08.06 14413
2105 며칠 바람의종 2009.05.21 7056
2104 면면이, 면면히 바람의종 2011.10.27 10875
2103 면목 바람의종 2007.07.01 8108
2102 명-태 바람의종 2012.11.23 20842
2101 명란젓, 창란젓, 토하젓, 토화젓 바람의종 2008.11.24 11205
2100 명량·울돌목 바람의종 2008.03.30 7095
2099 명분 바람의종 2008.11.19 4474
2098 명사 + 하다, 형용사 + 하다 바람의종 2009.07.17 9201
2097 명사형 바람의종 2009.04.13 7324
2096 명사형 어미 바람의종 2010.03.14 9195
2095 명일 바람의종 2007.07.02 112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